학술논문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에 대한 교사의 Folding Back 사고 모형 제안
이용수 7
- 영문명
- Design of Teacher's Folding Back Model for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부미 박지현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3권 제1호, 65~8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먼저 수학사에서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의 발달 과정을 고찰하고 기하적, 대수적, 형식적 관점에서 그 발생과정을 구분하여 배열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겪을 수 있는 인식론적 장애와 교과서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와 관련된 수학사, 학생들의 오류, 교과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를 학생들에게 의미충실하게 지도할 수 있도록 교사의 ‘folding back 사고 모형’을 개발하였다([그림 Ⅴ-1] 참조). ‘folding back 사고 모형’은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와 관련된 수학사, 학생들의 오류, 교과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가 어떤 교수학적 중재를 활용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개념의 역사발생적 배열 및 학생의 개념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재구성한 ‘발생적 이해 수준에 따른 개념 모형’([그림 Ⅴ-2])을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folding back 사고 모형’의 교수학적 중재 단계에서는 교사가 실제 수업을 설계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자기질문 형식의 ‘folding back 사고의 적용 요령’(<표 Ⅴ-1>)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folding back 사고 모형’은 Pirie-Kieren(1991)의 이론에서 제시된 folding back 개념을 활용하여 교사가 실제로 수학 수업을 설계할 때 수학사와 학생의 오류를 고려할 수 있도록 개발된 사고 모형이다. 이는 수학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이끌고 학생에게는 교과 내용을 배우면서 사고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수업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Epistemological development process of the Funda- mental Theorem of Calculus is considered in a history of mathematical notions and the genetic process of the Fundamental Theorem is arranged by the order of geometric, algebraic and formalization steps. Based on this, we studied students' episte- mological obstacles and error and analyzed the content of textbooks related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Then, We developed the “Folding Back Model” of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for students to lead meaningful faithfully. The Folding Back Model consists of “the Framework of thou- ght”(figure V-1) and “the Model of genetic understanding of concept”(figureV-2). The framework of thought in the Folding Back Model is included steps of pedagogical intervention which is used “the Monitoring working questions”(table V-3) by the mathematics teacher. The Folding Back Model is applied the Pirie-Kieren Theory(1991), history of mathematical notions and students' epistemological obstacles to practical use of instructional design. The Folding Back Model will contribute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and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f students when they learn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목차
Ⅰ. 서론
Ⅱ.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에 대한 분석
Ⅲ. 미적분의 역사적 발달 과정
Ⅳ.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에 대한 발생적 배열
Ⅴ.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지도를 위한 Folding back 사고 모형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다문화수학교실의 수업실태 분석
- 시각적 스키마 프로그램이 문장제 표상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 분석 연구
-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비례를 이용한 중학교 함수의 작도
- GSP를 활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기하적 성질의 추측
-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에 대한 교사의 Folding Back 사고 모형 제안
-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설문 조사 활동에서 나타난 아동의 통계적 사고에 관한 연구
- 폴리오미노에 What if (not)? 전략을 적용한 영재 학급용 수학 수업 소재 발굴과 활용
-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출제 체제에 관한 고찰
- 초등학교 4학년 소수단원에서의 수학과 PBL 모형 적용 수업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