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 분석 연구
이용수 2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inese National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Mathematic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남진영 정연준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3권 제1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9년과 2010년에 시행된 중국 대학입학 수학 시험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입학시험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국의 일반계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은 수학 기초 지식과 대학 수학을 위한 수학적 소양을 다면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과 시험과 문과 시험으로 나뉘어 실시되며, 선택형, 단답형, 서술형 문항이 출제된다. 이 시험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수학적 사고 능력은 사유능력, 연산능력, 공간상상 능력, 실천능력, 창의적 사고능력이다. 중국 대학입학 수학 시험의 분석 결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위 문항의 출제, 복수의 정답을 지닌 선택형 문항의 출제, 수리 ‘가’형과 ‘나’형에서 공통으로 출제되는 문항의 배열과 배점을 달리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inese national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Gaokao) in mathema- tics administered in 2009 and 2010 to draw out some implications 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n mathematics of Korea. To evaluate the attainments of basic mathematical skills and multilateral abilities required for further studies in university, the Gaokao mathematics is set in two forms(Art/Science), based on the Chines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e types of items in the Gaokao mathematics are multiple-choice, single-answer, and write-out-answer. The mathematical abilities that the Gaokao mathematics evaluates are mathematical reasoning, operation, geometrical imagination, application, and creativity. As a result, some implications on the Korean CSAT are drawn out in terms of the level of difficulty, the types of items, the arrangements, and the scores of items.
목차
Ⅰ. 서론
Ⅱ. 까오카오 수학 시험의 체제
Ⅲ. 까오카오 수학 문항의 특징
Ⅳ. 까오카오 수학 시험의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다문화수학교실의 수업실태 분석
- 시각적 스키마 프로그램이 문장제 표상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의 대학입학 수학 시험 분석 연구
-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비례를 이용한 중학교 함수의 작도
- GSP를 활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기하적 성질의 추측
-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에 대한 교사의 Folding Back 사고 모형 제안
- 또래교수가 또래교사의 수학적 성향과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설문 조사 활동에서 나타난 아동의 통계적 사고에 관한 연구
- 폴리오미노에 What if (not)? 전략을 적용한 영재 학급용 수학 수업 소재 발굴과 활용
-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출제 체제에 관한 고찰
- 초등학교 4학년 소수단원에서의 수학과 PBL 모형 적용 수업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