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m I a STEAM Teacher? Professional Identity and PCK through STEAM Project-Based Learning Professional Preparation
이용수 3
- 영문명
- 나는 STEAM 교사인가? STEAM PBL 연수를 통한 예비교사의 정체성 및 PCK 발달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유진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4권 제1호, 147~17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문성 교육을 통한 예비교사의 정체성 발달을 분석하였다. 특히, STEAM 교사로써의 전문적 정체성을 살펴보기 위해 혼합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1에서는 STEAM 프로젝트 기반 교육을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예비교사의 정체성 및 교수 내용 지식 발달을 비교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 정체성과 교수 내용 지식사이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고, STEAM 프로젝트 기반 교육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이 통제 집단에 비해 더 긍정적인 전문적 정체성 및 교수 내용 지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2에서는 5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된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실세계 상황의 적용, 협동학습, 실제 교수 경험이 STEAM 교사로써의 정체성 및 교수 내용 지식 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요인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STEAM 프로젝트 기반을 통한 미래 예비교사 연수에 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preparation (PP), especially a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STEAM) teachers. A mixed-methods approach was used in this study. In study 1, professional identity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two groups of participants (STEAM PBL PP and non-STEAM PBL PP) were compared (N=135).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indicated th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PCK. Also, pre-service teachers who had STEAM PBL PP experience had greater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y and PCK as compar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who did not have STEAM PBL PP experience. In study 2,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pre-service teachers.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 implementation of real-world situations in the instruction, collaborative work, and actual teaching experience were the most valuable factor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PCK to become STEAM teacher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sights that influence instructional approaches for future PP curricula as the emphasis on STEAM PBL continues to grow.
목차
I. Introduction
II. Theoretical Framework
III. Method
IV. FINDINGS
V. DISCUSSION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 익힘의 삽화 기능 및 문제 해결시 삽화에 대한 학생의 인식 분석
- 학교수학 제24권 제1호 목차
- ≪학교수학≫ 논문 작성 및 투고 지침
- Am I a STEAM Teacher? Professional Identity and PCK through STEAM Project-Based Learning Professional Preparation
- 한국, 싱가포르, 호주 수학 교과서의 행렬 단원 비교
- 데이터 기반 확률교육을 위한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향 탐색
-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나눗셈 계산 원리 지도에 대한 고찰
-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만족도 및 문제점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