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만족도 및 문제점 인식
이용수 58
- 영문명
-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towards computer based test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Focused on high school mathematics test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혜윤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4권 제1호, 119~14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예비시행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수학 과목의 컴퓨터 기반 평가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만족도 및 문제점 인식을 ‘평가 참여의 편의성’, ‘평가 도구의 적절성’, ‘교과 내용과 역량 평가를 위한 기술공학적 기능 적용의 적절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이에 대한 학생 인식의 차이를 학생의 ‘CBT 시행 환경’, ‘컴퓨터 활용 빈도’, ‘컴퓨터 활용 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따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예비시행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학생과 교사 대상 FGI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서술형 답안 입력의 편의성과 수식 입력기 사용의 편의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부 설문 문항에서 ‘CBT 시행 환경’, ‘컴퓨터 활용 빈도’, ‘컴퓨터 활용 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computer-based test focusing on ’the convenience in participating CBT’, ’the appropriateness of instruments for CBT; and ’the appropriateness of technology-enhanced functions applied to CBT’ based on the results of computer-base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pilot test.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for CBT’, ’students’ experience in using computer’, ’the sense of efficacy in computer use’, and ’students’ achievement’. Various data based on the survey of students, FGI for students and teachers were collected for a mixed research method. As a result, first, students and teachers perceived positively about most items except for the convenience in using the written answer input device and the equation editor.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students’ perception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for CBT’, ’students’ experience in using computer’, ’the sense of efficacy in computer use’, and ’students’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 익힘의 삽화 기능 및 문제 해결시 삽화에 대한 학생의 인식 분석
- 학교수학 제24권 제1호 목차
- ≪학교수학≫ 논문 작성 및 투고 지침
- Am I a STEAM Teacher? Professional Identity and PCK through STEAM Project-Based Learning Professional Preparation
- 한국, 싱가포르, 호주 수학 교과서의 행렬 단원 비교
- 데이터 기반 확률교육을 위한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향 탐색
-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나눗셈 계산 원리 지도에 대한 고찰
- 수학 교과 역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만족도 및 문제점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