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악핵독종(惡核毒腫)’ 치료에서 ‘치혈지통(治血止痛)’으로

이용수 37

영문명
From ‘Treating Abscesses’ To ‘Treating Blood And Stopping Pain’: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Ruxiang(乳香) in China
발행기관
의료역사연구회
저자명
최해별
간행물 정보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제11집, 149~17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표적인 해외 유입 향약(香藥)의 하나인 유향은 위진 시기부터 문헌 기록에서 확인이 되며, 이후 당송 교체기 해외 무역이 활발해져 향약의 대량 유입이 가능해짐에 따라 유향에 대한 이해와 활용에도 커다란 변화가 나타난다. 이 논문은 중국에서의 유향에 대한 인식과 그 활용의 역사를 복원하였다. 3세기경 문헌 기록에서 유향은 남방의 ‘기이한 물건’으로 소개되기도 또 ‘본초’로서 이해되기도 하였다. 특히 6세기 도홍경이 본초경집주를 편찬할 즈음은 ‘옹저’의 치료 효과에 주목하였고, 같은 시기 유향이 사용된 구체적 의방 역시 이와 관련된 것이 주를 이룬다. 이후 당 전기까지 이러한 이해는 지속된다. 주로 옹저나 창양 치료 및 악취 제거 등에 쓰였다. 유향의 효능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난 것은 8세기인데, 진장기는 본초습유에서 유향의 효능에 대해 처음으로 중풍, 부인의 난산과 혈기, 이롱(귀머거리), 설사 멈춤 등 효능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당시 편찬된 의방서에서는 이들 병증과 관련한 치료에 유향이 쓰인 사례는 보이지 않는다. 당말 오대시기에 이르면 지방 정권의 수립과 더불어 그간의 해외 무역의 발전으로 유향이 대량 유입되면서 유향의 인식과 활용에 상당한 변화가 나타난다. 10세기 남방의 오월에서 편찬된 일화자본초에서는 유향의 효능에 대해 더욱 진일보한 인식이 나타나는데, 정기를 보호하고, 허리와 무릎을 보호하며, 통증을 멈추게 하고 피부를 자라게 한다는 내용이 더해졌다. 그리고 송 초 편찬된관방 의방서 태평성혜방은 8세기 이래 중풍, 부인 난산 및 설사 치료 등 그간의 유향의 효능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반영된 다양한 의방을 실었다. 북송 중기 소송의 본초도경에서는 유향의 혈의 치료를 강조하기 시작하였고, 본초도경의 ‘치혈’과 ‘지통’의 이해는 태평혜민화제국방 중에서도남송 시기 추가된 의방에서 주로 확인되며, 특히 이 시기 추가된 의방에서언급되었던 ‘활경락’ 등의 효능은 13세기 ‘역수학파’라 불리는 이고와 왕호고등에 의해 ‘여러 경락의 통증을 다스림’에 효과적이라는 설명으로 강조된다. 결론적으로, 유향의 효능에 대한 이해는 6세기 전후 옹저 치료와 나쁜 기운의제거를 위주로 하는 이해에서 11-13세기 혈을 돌게 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것 등으로의 인식의 변화를 보인다. 이는 유향의 효능에 대한 이해의 확장과더불어 그것에 대한 설명이 점점 이론화된 틀에 의해 구축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아울러 유향의 효능에 대한 인식의 확장은 의방서에서 유향을 다양하게활용하는 모습과 함께 볼 수 있는데, 의방서의 활용은 유향의 대량 유입이이루어진 시기 즉 10세기 및 11세기 무렵 유향의 활용이 본격적으로 확대된다고 볼 수 있다. 송 초 태평성혜방에서 유향을 활용한 의방이 대거 등장한것은 아마도 당 중기부터 오대시기까지 유향의 효능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더불어 당 말부터 해외에서 유향의 대량 유입이 본격화되면서 나타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Ruxiang, one of the most commonly imported herbs, has been mentioned in Chinese literature since the Wei and Jin periods. With the growth of overseas trade during the Tang and Song periods, the massive importation of herbs, including Ruxiang,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Ruxiang. This study examines historical changes in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Ruxiang in China. In the literature of the third century, Ruxiang was mentioned as a “strange item from the south” and understood as a “medicinal herb.” Particularly during the sixth century, TaoHongjing(陶弘景)’s Bencaojingjizhu本草經集注 focused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Ruxiang for treating carbuncles and abscesses, and specific prescriptions that used Ruxiang were related to these ailments. This understanding continued until the early Tang Dynasty, during which Ruxiang was mainly used for treating carbuncles and abscesses or intestinal gas and bad odor. The perception of the efficacy of Ruxiang changed in the eighth century. Notably, ChenCangqi(陳藏器) emphasized its efficacy in treating stroke, female infertility, blood circulation, deafness, and diarrhea in Bencaoshiyi本草拾遺. However, there are no records of Ruxiang being used to treat these conditions in formulary books(醫方書) compiled during that time as well as in Waitaimiyao外台祕要. By the end of the late Tang and Five Dynasties periods, with the establishment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development of overseas trade, the importation of Ruxiang increased considerably, resulting in significant changes in how it was perceived and used. With Rihuazibencao日華子本草 compiled in the southern region in the tenth century, a more advanced understanding of the efficacy of Ruxiang emerged, which included protecting the regularity of Qi(氣), protecting the waist and knees, stopping pain, and promoting skin regeneration. Additionally, Taipingshenghuifang太平聖惠方 compiled during the Song Dynasty included various prescriptions that reflected the changing perception of Ruxiang’s efficacy since the eighth century, including treatments for stroke, female infertility, and diarrhea. Bencaotujing本草圖經 from the mid-Northern Song Dynasty emphasized the efficacy of Ruxiang in treating blood and promoting circulation, a fact that was further confirmed in Taipinghuiminhejijufang太平惠民和劑局方 prescriptions added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Ruxiang’s effectiveness in ‘boosting the meridian circulation,’ which was particularly mentioned in the added prescriptions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came to be highlighted by Yishuixuepai易水學派 and medical scholars such as Zhangyuansu張 元素 and Wanghaogu王好古 during the thirteenth century. In conclusion, in the sixth century, Ruxiang was understood to be effective at treating carbuncles and abscesses and dispelling negative energy. Such an understanding of Ruxiang’s efficacy shifted toward an emphasis on its ability to invigorate blood circulation and alleviate pain in the eleventh to thirteenth centuries. This evolution reflected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Ruxiang’s efficacy and the gradual establishment of an increasingly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ain it. Additionally, the expanded understanding of Ruxiang’s efficacy can be observed in the many usages to which it was put in medical books, which expanded significantly from the tenth and eleventh centuries onward, during the time of large-scale Ruxiang importation. The appearance of medical prescriptions that used Ruxiang in the Song Dynasty’s Taipingshenghuifang太平聖惠方 likely resulted from the expanded understanding of Ruxiang’s efficacy and the increased importation of Ruxiang from the late Tang Dynasty to the Five Dynasties periods.

목차

1. 머리말
2.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당(唐) 초: 남방(南方)의 이물(異物)에서 본초(本草)로
3. 당(唐)·오대(五代)·송(宋) 초: 악핵종독(惡核毒腫) 치료를 넘어
4. 송원(宋元) 시기: 치혈지통(治血止痛)의 본초로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해별. (2023).‘악핵독종(惡核毒腫)’ 치료에서 ‘치혈지통(治血止痛)’으로.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 149-176

MLA

최해별. "‘악핵독종(惡核毒腫)’ 치료에서 ‘치혈지통(治血止痛)’으로."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2023): 149-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