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종두령(1923)의 시행과 식민지 조선의 두창 통제

이용수 53

영문명
A Regulation for Smallpox Vaccination (1923) and Smallpox Control in Colonial Korea: On the Role of Vaccination Practitioners(Jongdusisulsaeng)
발행기관
의료역사연구회
저자명
김영수
간행물 정보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제11집, 33~6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식민지 조선의 두창 통제를 위해 일제가 실시한 종두정책의 변천을 살펴보고, 이 정책의 운용과 유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23년도에 반포된 「조선종두령」이 어떠한 배경에서 제정된 것이고, 법령 개정에서 문제로 인식하고 개선에 주안을 두었던 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중에서도 기존의 종두인허원 제도를 일부 계승하지만, 새롭게 마련된 종두시술생 제도를 살펴보면서 조선총독부의 종두정책의 유효성과 한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조선종두령」의 내용은 일본의 「종두법」에 기초하여 접종 시기, 대상, 횟수 등을 변경한 것이 주요 골자였는데, 그 배경에는 1920년을 전후하여 두창이 유행했던 사실뿐만이 아니라, 그간 일본 내지에서 시행된 종두접종성적과 면역력에 대한 분석, 그리고 식민지 조선의 지리적 상황 등이 반영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종두를 접종할 수 있는 의사나 의생이 부족했기 때문에 기존의 종두인허원과 유사한 종두시술생 제도를 두어 그들에게 공종두(公種痘) 사업을 담당하여 두창을 통제하고자 하였다. 종두시술생은 정기종두를 비롯하여 임시 및 특별 종두를 실시해야 하는 주체로 상정되었는데, 기본적인 자격만 갖추면 될 수 있었고, 교육은 속성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접종기술에 대한 확신은 얻기 어려웠다. 그러나 1930년대 이후 두창 유행의 규모가 커지면서 속성 교육만을 받은 이들의 역할은 더욱 확대될 수밖에 없었는데, 그러다보니 종두 시행 후의 관리는 엄격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도 그들을 활용하여 종두시술을 하는 것에 대한 불완전함은 인지하고 있었지만, 의료 인력이 부족한 가운데 이들을 활용할 수밖에 없었다. 다만 제조된 두묘의 효과는 신뢰하고 있었다. 따라서 선감을 확보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기보다는 더 많은 사람에게 더 자주 접종하는 방식의 두창정책을 펼치면서 유행 확산을 저지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changes made to the smallpox vaccination policy implemen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control the smallpox epidemic in colonial Korea, and analyzes the oper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olicy. To this end, I look into the background of the enactment of the smallpox vaccination regulation promulgated in 1923 and w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recognized as essential in revising the regulation. In 1923,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nacted a regulation called Joseon Jongduryeong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smallpox vaccination and to actively implement vaccination by presenting scientific grounds. It was a revision of the existing regulation and based on the Japanese rule (Shutorei) enacted in 1909. The revision changed the period, subject, and number of doses for vaccination. It reflected the analysis of vaccination results and immunity conducted in Japan, and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colonial Korea. In addition, due to the shortage of doctors and traditional medical practitioners, Vaccination Practitioners (Jongdusisulsaeng)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mplementing public smallpox vaccination. This inherited a part of the previous system (Jongduinheowon). Vaccination Practitioners were the main agents to implement temporary and special smallpox vaccinations, as well as regular ones. However, their vaccination techniques were difficult to trust because becoming a vaccination practitioner did not require any special skills, and they were trained only for a short time in learning to vaccinate for smallpox. As the smallpox epidemic re-emerged in the 1930s and 1940s, their role expanded inevitably. Therefore, it might be possible that management after smallpox vaccination was not strictly carried ou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aware that vaccination practitioners were not ideal agents to implement smallpox vaccination, but had no choice but to use them amid a lack of medical personnel. However, it trusted the effectiveness of smallpox vaccines developed in Japan. Therefore, rather than focusing on securing a positive reaction (善感), it aimed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epidemic by vaccinating more people, more often.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 만들기: 「조선종두령」(1923)의 제정
3. 두창통제를 위한 종두시술생 제도의 운용
4. 정보의 범람과 종두접종의 현실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수. (2023).조선종두령(1923)의 시행과 식민지 조선의 두창 통제.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 33-62

MLA

김영수. "조선종두령(1923)의 시행과 식민지 조선의 두창 통제."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2023): 3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