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두 접종의 보편화 과정과 그 영향

이용수 46

영문명
The Endeavors for Universal Vaccinationand Their Impact: Focusing on Smallpox Epidemic in Shanghai, 1938-39
발행기관
의료역사연구회
저자명
조정은
간행물 정보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제11집, 63~8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1938-1939년 상하이에서 두창 대유행에 맞서 우두 접종을 확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상하이에서 우두는 다양한 전략을 이용하여 보편 접종으로의 길로 나아갔다. 처음 우두법을 소개할 때는 사람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중의학의 이론을 이용했고, 이와 함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우두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홍보했다. 조계의 위생기구와 중국인 엘리트는 무료 우두 접종의 확대를 위해 노력했다. 이 시기 우두 접종은 자발적으로 사람들이 접종소에 와서 접종을 받는 방식이었고, 강제로 시행되는 일은 없었다. 1932-1937년 두창 사망자 수는 늘었다 줄었다를 반복하기는 했지만, 위와 같은 노력 덕분인지 그리 위협적인 숫자는 아니었다. 그러나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두창 환자와 사망자 수는 크게 늘었다. 전쟁의 포화를 피해 조계로 들어온 난민 중 두창 환자가 있었고, 이들로부터 두창이 퍼져나가기 시작한 것이다. 상하이를 점령한 일본군은 일본인과 일본군의 건강, 본국(즉 일본)의 안전을 목표로 삼아, 강제적 우두 접종을 실시했다. 전쟁과 식민지 침탈의 정당성은 차치하고 보편 접종의 확대라는 목표만 보면, 일본 측의 역할을 무시하기는 어렵다. 통계상의 숫자로만 봤을 때 일본 측 위생기구가 실시한 백신 접종 수가 꽤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군대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강제적 접종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일본군뿐만 아니라 조계의 위생기구와 병원, 진료소, 자선단체 등 다양한 기관들이 두창 방역이라는 같은 목표하에 힘을 모았다는 점이다. 인종과 피아를 구분하지 않는 감염병의 특성은 상하이에 기묘한 상호협력관계를 만들어냈다. 두창이 몇 달 만에 종식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협력 덕분이었다. 우두 접종의 확대가 지닌 의의는 우두 접종의 기반과 방식이 콜레라 방역에 그대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치 권력의 적극적 강제 접종”, “전통적 자선사업의 형식을 빌린 무료접종”이라는 두 가지 방식은 우두에서 시작되어 콜레라 백신의 확대에도 그대로 응용되었다. 보편화를 위한 길 또한 우두가 먼저 걷기 시작했다. 콜레라 백신은 중국인에게 친숙하지 않은 주사 형태였고, 효과도 불분명했다. 사람들은 일본이 독을 주사한다고 의심하여 콜레라 백신 접종을 꺼렸다. 접종증명서가 없으면 이동을 못하게 하자, 증명서를 몰래 위조하기도 했다. 이에 반해 우두 접종은 이미 중국에 들어온 지 백여 년이 흐른 상황이었다. 상하이 사람들은 우두의 효과를 잘 알고 있었고, 무료 우두 접종에도 익숙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콜레라 백신 접종과 비교했을 때 그렇다는 것이고, 우두 접종의 보편화라는 목적을 성취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1939년 이후로도 두창은 계속 유행했고, 여전히 접종을 꺼리는 사람도 많았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이전의 조계 당국이나 일본 점령군과 마찬가지로 평온한 통치를 위해 건국 초기부터 우두 접종에 힘을 쏟아야 했다. 우두의 보편화를 위한 끈질긴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꿈을 이루지 못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정치,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다각도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what kind of efforts were made to expand vaccination amid a smallpox epidemic in Shanghai in 1938-39,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such efforts. In Shanghai, various strategies were employed to achieve universal vaccination. When it was first introduced, theories of Chinese medicine were borrowed to help people’s understanding, and various media outlets were used to promote the effect and safety of vaccination. Health institutions in the foreign concession and the Chinese elites helped to expand free vaccination. At the time, vaccination was not mandatory, and people voluntarily visited a clinic for innoculation. Between 1932 and 1937, the number of fatality from smallpox fluctuated and did not reach a threatening level due to the vaccination effort. However, upon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the number of smallpox patients and the subsequent death toll surged. Some of the refugees who fled to the foreign concession to avoid the war had smallpox, and the disease spread from there. The Japanese military force that occupied Shanghai began mandatory vaccination in a bid to protect the health of Japanese people and soldiers as well as the safety of Japan. Setting aside justifications for war and pillage of the colony, the Japanese occupation helped to expand universal vaccination to an extent. Statistical data indicate that the number of vaccination applied by Japan’s health institutions is significant, and the military institution enabled forced vaccination. Various institutions including the Japanese military force, health institutions, hospitals, clinics, charity organizations in the foreign concession joined hands for the shared goal of fighting against smallpox. Due to the nature of an epidemic tha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friends and foes or across races, an odd cooperative relationship was formed in Shanghai. The significance of an increase in vaccination can be observed in that its infrastructure and method were replicated to fight cholera. Specifically, the two approaches―active and forced innoculation by the authorities and free innoculation in the form of traditional charity work―were first made to increase vaccination and then fully applied to expanding cholera inoculation. Vaccination also paved the way for universalization of inoculation. At the time, the Chinese people were not familiar with the method of cholera inoculation, and its effect was dubious. They suspected that the Japanese injected poison and shunned cholera inoculation. When a rule was implemented that banned people without a certificate of cholera inoculation from traveling to other regions, people forged certificates. In comparison, over a century had passed since vaccination was introduced in China, and people knew its effect well. For this reason, the public probably did not strongly oppose forced vaccination by the Japanese. However, this is merely in comparison with cholera inoculation, and the goal of universal vaccination was not attained. Smallpox continued to break out after 1939, and many people remained reluctant to receive vaccination. For peaceful rul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ad to endeavor for vaccination from the beginning of its foundation as did the authority of the foreign concession and the Japanese military force. Reasons for a failed attempt to achieve universal vaccination despite tenacious efforts need to be investigated from various angles including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목차

1. 서론
2. 두창 유행 양상과 원인
3. 우두 접종 확대를 위한 노력
4. 우두 접종의 성과와 의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정은. (2023).우두 접종의 보편화 과정과 그 영향.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 63-89

MLA

조정은. "우두 접종의 보편화 과정과 그 영향."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2023): 63-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