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 경험
이용수 263
- 영문명
- A Focus Group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amo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 발행기관
- 사회복지정책실천회
- 저자명
- 김은아 박현숙 이미령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정책과 실천』9권 1호, 237~282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업무를 수행하는 정신건강전문요원의 경험을 심도 깊게 살펴봄으로써 이들을 위한 실질적 지원에 대한요구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 경험이 있는 정신건강전문요원을 대상으로 2개 집단의 초점 집단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그결과 3개의 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3개 범주는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의 초입: 척박한 땅에 내던져짐’,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에 따른 성장: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을 위한 대비: 단단하게 서기 위한 땅 만들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과적 응급대응 현장출동 인력 배정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침 마련, 현장출동 정신건강전문요원에 대한 지원 확대, 교육과훈련체계 마련,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 depth the experiences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ho perform the task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and to explore their needs for practical support.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mental health professionals who experienced the task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at a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in Busan, South Korea. Qualitative data analysis extracted three theme clusters and 10 sub-themes and the key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1) ‘the primary experience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 being thrown into barren ground’; 2) ‘the growth through experiences of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 what matters is the invincible spirit’; and 3) ‘preparation for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 building the ground to stand firm’.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standard guidelin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arrangement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for psychiatric emergency response, expanding support for the workforce, building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and developing institutional support plan for effective respons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