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체성의 실천으로서 중국문인화
이용수 4
-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曺松植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36집, 305~3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literati painting is considered bi-mo(筆墨) as pictorial form in our times. but if we research the original mean, it was is made on the base of philosophical ontology. It is the aesthetics research how literati gets over the confrontational things in tense relation between mind and things. Mind as the subject of an act reacts on the outside things in two orientation. The one is 'a painting for me' that is not drawn passively in the relationship with, but in means practice. The other is 'a painting for others' that could not be embodied because of its idea trapped in a subject. Finally, the former is literati painting, the latter is a professional painting. After all, in the relation between a subject and an object, the literati painting is an active materialism of subjectiveness and professional painting for living at palace is passive subordination of a subject. ‘Yu yi yu wu(寓意於物)’ is the mode that the literati painting is related to the outside things. It has the form of things, but not trap in its form, and entrust literati mind. In this point, mind is not a fixed idea but the reaction of mind. It continually changes and develops outside. In pictorial methods, it is revealed through calligraphic line. Therefore, the change of brush and Chinese ink, that is bi-mo(筆墨), is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min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나를 위한 그림으로서 문인화
Ⅲ. 주체성의 실천으로서 문인화
Ⅳ. 그림의 역할 및 사물과의 관계
Ⅴ. 주체적 실천의 반영으로서 조형미
Ⅵ.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어와 영어의 부정(否定) 표현 대조
- 對外漢語敎學中合理運用敎學方法的基本原則
- 文化大革命과 쩌우양(周揚)
- 對外漢語高年級精讀課敎學中的文化滲透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원대 여성예인들의 활약과 희곡예술의 발전
- 중국희곡 미학의 핵심: 神似
- 二·二八小說과 四․三小說의 기억투쟁
- 상하이 영화 연구Ⅰ
- 試論二人轉的起源與形成
- 上古漢語 自動詞의 使動用法
- 주체성의 실천으로서 중국문인화
- 1930, 40년대 상하이 영화를 통해 본 상하이인의 문화적 정체성
- 《六祖壇經》述補構造硏究
- 80年代臺灣都市小说中的新空间书写策略
- 『臥虎藏龍』:원작소설과 각색영화의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고찰
- 四聲三辨
- 沈從文 小說 속의 湘西 民歌와 文化
- 染和林白的小說意義
- 蘭의 상징성에 대한 연구
- 洪亮吉詩學의 創作論과 그 實踐探究
- 1980년대 중국 실험극의 문화적 의의
- 孫光憲詞의 特徵 考
- 湘西――沈從文 소설의 신화적 공간
- 论中国“80后”文学敍事的解構主義傾向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