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唐五代 文人詠物詞 考察 (2)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李沃夏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65집, 263~28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咏物词,顾名思义,以物为表现对象的词,通过对物的体认,寄托抒情为咏物的本质目 的。文人咏物词的来源就是唐五代文人咏物词,但历来对咏物词的评价总是偏重于唐咏物诗 和南宋咏物词的辉煌成绩,相对忽视了咏物词起步阶段的情志内涵及艺术风格 之所以对唐五代文人咏物词的认识与看法非常缺乏,是因为既往都认为唐五代文人咏物 词只是咏物词的雏形,以应制与唱和为主,创作无法寄托抒情。因此,通过本研究可以纠正 在探讨唐五代文人咏物词的过程中所面临的两大问题。第一,唐五代文人咏物词共有107首, 占整个唐五代文人词的10%,因此应纠正‘唐五代北宋词人不甚咏物’的看法。第二,唐五代文 人咏物词的修辞手法可分为三种单一型与两种混合型——单一型有描述型、比喻型、象征 性,混合型是以描述型为中心在作品的最后一两句附加比喻或象征的模式。唐五代文人咏物 词的修辞手法当中最常见的模式就是描述型与象征型的结合,因此应纠正‘唐五代文人咏物词 无寄托’的看法。 总而言之,唐五代文人咏物词多运用托物寄怀,通过‘穷物之情,尽物之态’的艺术表现手 法,充分发挥了咏物词的审美意识。毫无疑问,唐五代文人咏物词是宋代咏物词发展的基础 以及前提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唐五代 文人詠物詞의 分類 再考
Ⅲ. 唐五代 文人詠物詞의 수사 활용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중 민간장례습속에 나타나는 망혼의안내자들
- 基于语料库的二词型术语抽取研究
- 貶謫文人의 작품 속 심리양상 고찰 Ⅱ
- 1980년대 중국사회의 동일성과 공감장
- 중국어 듣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문과학 제65집 목차
- 张爱玲的自我告白写作: 以自传体小说《小团圆》为例
- 중국어 사전의 어휘 연구
- 真值语义相同下的“才”和“就”之比较
- 고대 중국인의 인식체계에 대한 고찰
- 당·송대 餠茶와 團茶제다법 비교연구(I)
- 《上博楚簡(五)·弟子問》에 대한 연구
- 중국어 ‘-族’류 신조어의 사회언어학적 분석
- 柳宗元의 古賦硏究
- 唐五代 文人詠物詞 考察 (2)
- 다언어의 교육 방법 小考
- 基于语料库的“挨”、“靠”、“临”用法辨析
- 朝鮮文人的王羲之書帖題跋一考
- 중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쓰기 偏误分析
- 教育信息化背景下中国大学内涵式发展策略研究
- 韓日西湖詩的文學形象構建及其體現出的兩國文化心理
- 延安時期丁玲의 <夜>에 관한 소고
- 意와 義의 詞義異同考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중국어發音오류에 대한 몇 가지 見解
- 李漁의 패션미학관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