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법의 실질적 효력에 대하여
이용수 25
- 영문명
- About the practical effect of the Law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박성호
- 간행물 정보
- 『원광법학』제39권 제1호, 233~26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873/873712.jpg)
국문 초록
주지하는바와 같이, 법치주의는 입법부가 제정, 개정한 법에 근거해서 권력이 행사되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따라서 법치주의는 권력자에 의해 권력이 자의적으로 행사되거나 행사될 수 없고 법에 근거해서만 행사되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즉 법치주의는 권력의 행사가 법에 근거할 것을 요구함으로써 권력의 자의적이고 주관적인 행사를 제한하여 권력의 남용을 방지하여 위한 것이다. 하지만 법치주의가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지 그것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현재도 의견이 분분한 실정이다. 법치주의는 ① 권력의 행사가 법에 근거할 것을 요구함으로써 권력의 남용을 방지하고 제한하고자 하는 원칙이라고 하거나 ② 권력의 행사를 법에 근거하도록 제한하여 개인들의 자유, 권리를 보장하고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견해 ③ 개인들의 자유, 권리 보장과 보호, 공동체의 법적 안정성의 보장을 위해 권력의 행사는 법에 근거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라는 등의 견해가 그렇다. 이와 같은 법치주의에 대한 여러 견해들은 법치주의를 통해 국가 공동체가 이루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와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권력의 행사가 법에 근거할 것을 요구함으로써 권력의 남용을 방지하고 개인들의 자유, 권리를 보장하고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생각이다. 즉 권력자에 의해 권력 행사가 자의적이고 주관적일 때 권력의 확장을 가져올 뿐 개인들의 자유와 권리는 제한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따라서 법치주의는 ① 개인이나 권력의 주관적 의지가 아닌 ‘법’에 근거하여 권력이 행사되어야 하고 ② 권력자나 권력집단에 의한 개인들의 자유와 권리에 대한 침해는 법의 근거 없이는 인정될 수 없어야 한다. 그러나 법은 권력 집단에 의해 제정되고 권력 집단의 주관적 의지가 반영된다는 점에서 권력의 행사가 법에 근거하는 경우 법치주의라고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권력자 또는 권력 집단의 자의적이고 주관적 의지만에 의한 법에 근거하여 권력이 행사되는 경우 그것은 개인들의 자유, 권리를 억압할 수 있는 도구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권력이 권력자 또는 권력 목적만을 위한 법에 근거하여 권력이 행사되는 경우 그것은 오히려 권력의 제한과 남용이 아니라 권력의 확장을 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법치주의의 목적이 개인들의 자유, 권리의 보장과 보호에 있다면 법치주의를 위한 법은 개인들의 자유, 권리를 보장하고 보호할 수 있는 실질적 효력이 인정되는 법에 근거하여 권력이 행사되는 경우에 만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s is well known, the rule of law is the principle that power should be exercised based on laws enacted and revised by the legislature. Therefore, the rule of law is a principle that power cannot be arbitrarily exercised or exercised by a person in power, but must be exercised only on the basis of law. In other words, the rule of law is to prevent abuse of power by limiting the arbitrary and subjective exercise of power by requiring the exercise of power to be based on the law. However, opinions are still divided as to why the rule of law is necessary and what it means. The rule of law is a principle to prevent and limit abuse of power by requiring the exercise of power to be based on the law, or guarantee and protect individuals' freedom and rights by limiting the exercise of power to be based on the law. These various views on the rule of law are related to what the national community wants to achieve through the rule of law. I think that the exercise of power is to prevent abuse of power and to guarantee and protect individuals' freedom and rights by demanding that it be based on the law. In other words, when the exercise of power is arbitrary and subjective by the person in power, it only brings about the expansion of power, but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are bound to be limited. Therefore, the rule of law should be exercised on the basis of 'law' rather than the subjective will of individuals or power, and infringement of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by powerful people or power groups should not be recognized without the basis of law. However, given that the law is enacted by the power group and reflects the subjective will of the power group, it is problematic to call it the rule of law if the exercise of power is based on the law. This is because if power is exercised based on the law only by the arbitrary and subjective will of the powerful person or the power group, it can be reduced to a tool that can suppress individual freedom and rights. In other words, if power is exercised based on laws only for power people or power purposes, it can mean the expansion of power, not the restriction and abuse of power. Therefore, if the purpose of the rule of law is to guarantee and protect individuals' freedom and rights, the law for the rule of law should be recognized only when power is exercised based on the law that is recognized as having practical effect to guarantee and protect individuals' freedom and right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법의 효력과 실효성
Ⅲ. 법의 목적
Ⅳ.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주택 하자분쟁 해결제도의 현황과 중재제도
- 종교의 자유와 명상에 관한 헌법적 해석
- 전자정보 역외 압수・수색의 입법 개선 방향에 대한 소고
- 헌법 제31조 제4항의 해석과 적용
- 여성폭력 및 여성폭력방지기본법 개선 모색
- 법의 실질적 효력에 대하여
- 징계대상자의 방어권 보장에 대한 소고
- 의약품의 긴급사용승인과 국가책임
- 미국법상 스마트폰 잠금 해제 거부와 법원모욕
- 사회복무요원과 정치적 표현의 자유에 대한 연구
- 상계항변과 기판력
- 사적자치와 공법적 제어의 조화
- 헌법재판소의 독립성 증진에 관한 소고
- 아테네 폴리스와 주민자치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상의 사업인정의제 관련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조건부동의 시의 법적 쟁점 및 그 해결
- 원광법학 제39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NEW
- 헌법의 기능과 개헌의 과제
-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에 대응한 정보주체 권리의 실효적 보장 방안 - 「개인정보 보호법」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간접고용 근로자의 단체교섭권에 대한 헌법적 검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