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종교의 자유와 명상에 관한 헌법적 해석
이용수 39
- 영문명
-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Religious Freedom and Meditation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전지수
- 간행물 정보
- 『원광법학』제39권 제1호, 365~38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873/873712.jpg)
국문 초록
헌법은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 종교의 자유의 보호대상에 명상은 포함되는지 의문이다. 전통적으로 명상은 종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현대의 명상은 종교성에서 세속화・대중화・산업화로 변천되었다. 명상의 세속화는 종교의 개념에 대한 재해석을 요청한다. 명상의 개념은 더 이상 종교에 국한하지 않는다. 명상은 종교적 차원과 세속적 차원이 조응 혹은 분리된 개방적 개념으로 확장된 것이다. 그렇다면 명상을 종교로 포섭하여 일률적인 종교의 자유의 보호영역으로 설정할 수 없다. 국가는 종교의 자유를 보호할 수 있도록 종교의 범위에 대하여 고민하여야 한다. 합의된 헌법적 정의는 부재하다. 이에 대한 헌법적 대답을 부과한다. 헌법질서 아래 상이해진 두 개념 간에 평화적 공존을 위해서는 새로운 정립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명상에 관한 헌법적 문제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명상은 종교인가? 둘째, 헌법상 명상의 개념은 무엇인가? 셋째, 종교의 자유와 명상은 어떠한 관계를 갖는가? 종교적 명상과 세속적 명상으로 구분하여 종교의 자유에 대한 실효성 있는 헌법해석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종교적 명상의 경우 종교가 추구하는 유일한 목적에 이르기 위한 수단이다. 이와 달리, 세속적 명상의 경우 각인의 다양한 목적을 내적으로 경험하기 위한 생활의 실천이란 점에서 합리적인 헌법적 해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고는 종교성을 갖는 명상의 경우 종교의 자유의 영역이지만, 세속성을 갖는 명상의 경우에는 무종교의 자유의 영역으로 보는 것은 정당한지 여부에 대하여 고찰한다. 이를 논증하기 위하여 헌법상 종교와 명상의 개념, 종교의 자유와 무종교의 자유를 구분하여 탐색한다. 그리고 무종교의 자유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무신앙의 자유, 무종교적 행위의 자유, 무종교적 집회・결자의 자유, 무종교의 자유 제한의 한계를 명상의 개념을 접목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종교의 자유와 무종교의 자유에서 각기 파생되는 가칭 ‘종교적 명상의 자유’와 ‘세속적 명상의 자유’에 대하여 제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헌법상 종교와 명상의 개념을 살펴보고, 헌법해석을 통해 상충할 수 있는 종교적 명상과 세속적 명상의 기본권 보호의 범위를 법익형량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영문 초록
The Constitution guarantees freedom of religion. It is doubtful whether meditation is included in the protection of religious freedom. Traditionally, meditation has been used as a means to achieve religious goals. Modern meditation is losing its religiosity. In other words, modern meditation is changing into secularity, popularity, and industrialization. The secularization of meditation calls for a re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religion. The concept of meditation is no longer limited to religion. Meditation is an expansion of an open concept in which the religious dimension and the secular dimension correspond or separate. Meditation cannot be embraced as a religion and set as a uniform protection area for religious freedom. The state should consider the scope of religion to protect religious freedom. There is no agreed upon constitutional definition. A constitutional answer to this is required. This is because a new interpretation is needed for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concepts under the constitutional order. The constitutional issues regarding meditation are largely organiz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is meditation a religion? Second, what is the concept of meditation in the constitution?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dom of religion and meditation? It is possible to try an effectiv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religious freedom by dividing it into religious meditation and secular meditation. In the case of religious meditation, it is a means to the only end pursued by religion. Unlike this, in the case of secular meditation, a reasonabl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must be premised in that it is a practice of life to internally experience the various purposes of each person. This study considers whether it is legitimate to regard meditation with religiousness as the realm of freedom of religion, but in the case of meditation with secularity, as the realm of freedom from religion. To prove this, the concept of religion and meditation, and freedom of religion and freedom from religion in the Constitution were distinguished and explored. The specific content of freedom from religion was reviewed by grafting the concept of meditation on the freedom of unbelief, freedom of non-religious activities, freedom of non-religious assembly and assembly, and the limits of freedom from religion. And, tentatively named 'freedom of religious meditation' and 'freedom of secular meditation' derived from freedom of religion and freedom from religion are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legal interests by setting the concept of religion and meditation in the Constitution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basic rights of religious meditation and secular meditation that may conflict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목차
Ⅰ. 서론
Ⅱ. 종교와 명상의 헌법적 의의
Ⅲ. 무종교의 자유의 내용으로서 명상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동주택 하자분쟁 해결제도의 현황과 중재제도
- 종교의 자유와 명상에 관한 헌법적 해석
- 전자정보 역외 압수・수색의 입법 개선 방향에 대한 소고
- 헌법 제31조 제4항의 해석과 적용
- 여성폭력 및 여성폭력방지기본법 개선 모색
- 법의 실질적 효력에 대하여
- 징계대상자의 방어권 보장에 대한 소고
- 의약품의 긴급사용승인과 국가책임
- 미국법상 스마트폰 잠금 해제 거부와 법원모욕
- 사회복무요원과 정치적 표현의 자유에 대한 연구
- 상계항변과 기판력
- 사적자치와 공법적 제어의 조화
- 헌법재판소의 독립성 증진에 관한 소고
- 아테네 폴리스와 주민자치
-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상의 사업인정의제 관련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조건부동의 시의 법적 쟁점 및 그 해결
- 원광법학 제39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NEW
- 헌법의 기능과 개헌의 과제
-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에 대응한 정보주체 권리의 실효적 보장 방안 - 「개인정보 보호법」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간접고용 근로자의 단체교섭권에 대한 헌법적 검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