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eace Education Focusing on Unification in Korea

이용수 26

영문명
한국의 통일 중심 평화교육의 전개와 실천
발행기관
글로벌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이정희
간행물 정보
『글로벌교육연구』제15집 1호, 117~13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의 평화교육의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검토하였다. 첫째, 한국에서 전개된 평화교육 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에서 평화교육의 중심에 있는 통일교육이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지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에서는 어떠한 형태의 평화교육, 통일교육이 실천되고 있는지살펴보기 위해 학교통일교육의 실제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의평화교육의 특징으로 다음의 네 가지가 규명되었다. 첫째, 한국에서의 평화교육논의의 중심에는 통일교육이 있다. 둘째, 한국에서의 통일교육은 반공주의적인어프로치로부터 평화·통일교육의 어프로치로 전환되고 있다. 셋째, 학교통일교육은 교육과정을 통한 실천, 체험 중심, 행사 중심, 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통일교육이 전개되고 있다. 넷째, 교과를 통한 통일교육 실천에서는 토의·토론 과정에서 학생들끼리 서로 묻고 가르쳐주고, 논쟁하면서 수동적인 학습자에서 스스로 참여하는 능동적인 학습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시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일교육 중심의 평화교육은 한국에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peace education (PE) in South Korea. To this end, this paper investigated the following three specific areas: First of all, it drew on previous research to describe trends in PE in South Korea. Next, it presented how unification education (UE), which is the center of PE in South Korea, has changed. Finally, it examined the reality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SUE) in order to see what types of PE and UE are practiced in school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our characteristics of PE in South Korea were clarified. First, UE is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of PE in South Korea. Second, UE in South Korea is shifting from an anti-communist approach to a peace and UE approach. Third, SUE is carried out throughout the curriculum, centered on experience, events, and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Fourth, classes are carried out mainly by students through dialogue based on discussions. PE like this centered on UE is expected to continue in South Korea for the time being.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rends in Peace Education in South Korea
Ⅲ. Development and Tasks in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SUE)
Ⅳ. Implementation Cases of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희. (2023).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eace Education Focusing on Unification in Korea. 글로벌교육연구, 15 (1), 117-137

MLA

이정희.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eace Education Focusing on Unification in Korea." 글로벌교육연구, 15.1(2023): 117-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