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뉴로피드백(Neurofeedback) 훈련이대학생의 고차원 인지와 뇌파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4
- 영문명
- Effects of Training Program Using Neurofeedback to Enhance Cognitive Function on Higher-Order Cognition and Brain Waves in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홍진승 홍승주 김동주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0권1호, 181~20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뉴로피드백 훈련이 고차원 인지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고차원 인지와 관련된 뇌파의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주의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 19세 이상의 대학생 9명이며, 중재로 뉴로피드백 훈련을 2개월간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추수 검사 및 중재 회기시의 고차원인지 측정 결과와 사전·사후·추수 검사 시 뇌파 측정 결과에 대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의 고차원 인지가 향상되었으며 인지기능과 관련된 뇌파의 A/Tratio는 두정엽, 후두엽 그리고 우측 측두엽에서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뉴로피드백 훈련효과로 연구참여자의 인지기능이 향상되어 고차원 인지와 뇌 기능이 개선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higher-order cognitivefunction and the changes in related EEG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withatten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ine university students aged 19 or older with difficultieswith attention, and ten neurofeedback training sessions were conducted over two months as anintervention. To confirm the intervention effect, repeated measures ANOVA was performed onthe high-order cognition measurement results during th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andintervention sessions, and the EEG measurement results during the pre-, post-, and follow-uptests. As a result, the higher-order cognitive func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is enhanced, andthe A/T ratio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 has been increased in the parietal, occipital, and righttemporal lob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improved due to the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resulting in enhanced higher-ordercognition and brain function. Moreover,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육군 리더십교육이 신임장교의 리더십 인식변화에 미치는영향 분석
- 중학생의 학교적응 및 자기불일치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
- 심신통합적 치유 기법으로서 사운드힐링의 현황과 치료적적용에 대한 제언
- 학교폭력 방관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 국내의 상담 분야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동향
- 지각된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
-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학습성과와 대학생의핵심역량 간의 연계성 분석
-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뉴로피드백(Neurofeedback) 훈련이대학생의 고차원 인지와 뇌파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관계적 원천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행복감에 미치는영향에서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
- 상담 사례개념화 요소에 대한 고찰
- 상담심리교육복지 10권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취학 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다중병렬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