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의 상담 분야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동향
이용수 156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n Ethical Decision-Making of Counseling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문소희 조미영 유순화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0권1호, 125~1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의 상담 관련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현재까지 이루어진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1991년부터 2022년 10월까지 출판된 상담 관련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총 57편을 수집하여 개념, 연도별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주제, 변인설정, 측정도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의사결정 개념은 다양한 용어로 정의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방법에서는 최근 질적연구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학교상담자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29.3%), 연구주제는 사례연구, 상담자 특성, 특정주제 개관연구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80.7%). 넷째, 윤리적 의사결정은 종속변인일 때 상담자 관련 특성을 주된 독립변인으로 사용하였다. 다섯째, 측정도구는 대부분 자체 개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ethical decision-making ofcounseling,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concept, methods by year,objects, topics, and measuring tools of 57 studies, published from 1991 to 2022 were analyzed. First, the concept of ethical decision-making was defined in various terms. Second, it was foundthat qualitative research has increased recently. Third, the study of school counselors was themost common(29.3%), and almost studies(80.7%) were about case studies, counselorcharacteristics, and the review of specific topics. Fourth, counselor-related characteristics wereused as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 when the variable related to ethical decision-makingwere a dependent variable. Fifth, most of the measuring tools were self-developedquestionnair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육군 리더십교육이 신임장교의 리더십 인식변화에 미치는영향 분석
- 중학생의 학교적응 및 자기불일치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
- 심신통합적 치유 기법으로서 사운드힐링의 현황과 치료적적용에 대한 제언
- 학교폭력 방관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 국내의 상담 분야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동향
- 지각된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
-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학습성과와 대학생의핵심역량 간의 연계성 분석
-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뉴로피드백(Neurofeedback) 훈련이대학생의 고차원 인지와 뇌파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관계적 원천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행복감에 미치는영향에서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
- 상담 사례개념화 요소에 대한 고찰
- 상담심리교육복지 10권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