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육군 리더십교육이 신임장교의 리더십 인식변화에 미치는영향 분석
이용수 155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ffects of Army Leadership Education on Change in Leadership Perceptions of New Officer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오성진 고성진 김정철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0권1호, 103~12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육군 리더십교육이 신임장교의 리더십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리더십교육을 전·후하여 설문을 통해 리더십 인식수준의 변화량을 측정하였고, 교육만족 관련 설문을 통해 리더십 교육만족도와 리더십교육-교육만족간의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를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육군의 리더십교육은 신임장교들의 리더십 인식수준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이는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독립표본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음으로써 확인되었다. 아울러, 신임장교들은 육군의 리더십교육에 대해 높은 수준(4.71/5점)의 만족도를보여주었고, 상관관계 분석결과 교육만족도는 리더십 인식수준과 유의미한 상관(0.01수준)및 인과관계(.807,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현행 리더십 교육체계가 신임장교의 리더십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rmy leadership education on the changein leadership perception of new officers. To this end, the amount of change in leadershipperception level was measured through surveys before and after leadership education, and thecorrelation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education satisfaction and leadershipeducation satisfaction were examined through surveys related to education satisfaction. As aresult of the study, the Army's leadership education positively changed the level of leadershipperception of new officers, which was confirmed by obtain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sa result of independent sample verification for comparative groups. In addition, the new officers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Army's leadership education (4.71/5), and as a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leadership perception level (0.01 level) and causality (.807, P<.001) was found to bepresent.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leadership education system affected thechange in new officers leadership perception.
목차
Ⅰ. 서론
Ⅱ. 군 리더십 교육 이론적 고찰
Ⅲ. 연구설계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육군 리더십교육이 신임장교의 리더십 인식변화에 미치는영향 분석
- 중학생의 학교적응 및 자기불일치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차이
- 심신통합적 치유 기법으로서 사운드힐링의 현황과 치료적적용에 대한 제언
- 학교폭력 방관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분석
- 국내의 상담 분야 윤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동향
- 지각된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
-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학습성과와 대학생의핵심역량 간의 연계성 분석
-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뉴로피드백(Neurofeedback) 훈련이대학생의 고차원 인지와 뇌파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관계적 원천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행복감에 미치는영향에서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
- 상담 사례개념화 요소에 대한 고찰
- 상담심리교육복지 10권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