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언론보도 분석
이용수 398
- 영문명
- Analysis of news articles on the Customiz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using text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노혜림 이현숙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6권 제1호, 167~19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대한 이해당사자 및 대중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뉴스에 대해 LDA 토픽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단어 간의 관계를 통해 평가 자체에 대한 인식과 이해당사자별 인식을 확인하고자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뉴스기사에 포함된 댓글에 대해 주제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토픽분석 결과, (1)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확대에 대한 시·도교육감들의 상반된 반응, (2) 자율평가의 참여 유도로 인한 교육청과 교원단체 간의 갈등, (3)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시행, (4) 학력 신장을 위한 보수성향 교육감의 평가 확대, (5)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대상 확대, (6) 202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7)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시행과 사교육 총 7개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댓글 분석에서는 자율평가 시행의 필요성 및 이에 대한 우려가 주로 등장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자율평가를 통해 서열화와 사교육이 증가할 것이라는 주장과 일제고사 형식의 평가는 지양하지만 자율평가 도입을 통한 학력 진단은 필요하다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이해당사자 및 대중의 인식을 바탕으로, 맞춤형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takeholders and the public on the Customiz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CAEA) proposed to ensure the basic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news articles and online comments were collected from major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tations using web-crawling method. The LD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news articles, while keyword 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news articles and comments. Seven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LDA analysis: (1) conflicting responses from superintendents for expansion of the CAEA, (2) conflicts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eacher organizations over participation in the CAEA, (3)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plan to ensure that every student meets the basic level of academic standards, (4) expansion of the CAEA for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by conservative superintendents, (5) expansion of CAEA’s target grades, (6) the 2021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result, and (7) implementation of the CAEA and private education. In addition, the need for the national or state-level customized assessment and concerns about polarization in education associated with mandatory administration were found in the analysis of comments on news articles. Finally, based on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and the public explored through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ly-sound applications of the CAEA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중회귀모형을 활용한 ‘영향요인 연구’의 인과적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언론보도 분석
- Rasch-tree 방법을 이용한 PISA 2015 과학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적용한 초등교원의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탐색
- 중·고등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 측정을 위한 설문 도구 개발 및 타당화
- Item Parameter Drift 분석을 통한 진로성숙도 척도의 종단적 측정불변성 검증
- 혼합형 가교문항 구성 방법이 혼합형 검사 동등화에 미치는 영향
- AHP와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고등교육 질 관리 예측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