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혼합형 가교문항 구성 방법이 혼합형 검사 동등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8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construction of mixed anchor items on the test equating in mixed-format tes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이소라 상경아 정태순 심준식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6권 제1호, 199~22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2년 도입된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일부 구성형 문항에 대해 혁신문항(innovative item) 개발을 도입하였다. 최근 역량 기반의 구성형 문항의 비율이 꾸준히 늘어났고, 혁신문항 도입으로 문항 유형 간 다차원성이 증가할 만한 상황에서, 선택형 문항에서만 가교문항을 선정하는 기존 동등화 방식으로 적정 수준의 동등화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선택형뿐만 아니라 구성형 문항도 포함하는 혼합형 가교문항 구성 방식이 검사 동등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실험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가교문항의 선택형 단일 구성과 혼합 구성 간 동등화 오차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성형 문항의 비율을 높일 때 오차가 줄어들었다. 전체 검사에서 혼합형 가교문항의 구성 비율에 따른 결과를 보면, 20% 내외일 때는 동등화 결과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유형에 따른 다차원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일차원성 검사에 비해 동등화 오차가 확연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혼합형 가교문항을 활용할 때 동등화 오차의 증가가 두드러져 다차원 검사에서는 구성형 가교문항의 활용에 신중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With the introduction of innovative items in the computer-based NAEA, the item format became diversified, and the current method of selecting anchor items from multiple-choice (MC) items became burdensome for test develop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 mixed-format anchor items including both MC and constructed-response (CR) items could hold the stability of equating in the NAEA, and give desirable direction to expand the range of anchor items and to make test construct flexible. A simulation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common-item non-equivalent group design with the test conditions of the Korean subject in the NAEA. The treatment conditions include (1) a type of anchor item set (a single MC or a mixed), (2) a composition type of mixed anchor item (MC:CR = 1:1, 3:2, or 3:4), (3) a length of mixed anchor items within a test (25%, 22%, or 19%), and (4) the presence of multidimensionality according to the item format were assumed. The main result i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quating error between the single MC and the mixed anchor item condition. Specifically the equating error of the single MC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mixed-format cases where the ratios between MC and CR were 1:1 and 3:2. In the 3:4-ratio mixed condition, the equating error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single MC condition. A length of mixed anchor items within a test showed somewhat mixed results, probably because there was not much variation between the conditions in the composition ratio, about 20% in test. When there was multidimensionality according to the item format in the test, the equating error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mixed anchor items compared to that of unidimensional test condition. In sum, about 20% of the mixed anchor items with slightly higher CR ratio was found to be suitable in the unidimensional test and caution was called for in using mixed anchor items in multidimensional tes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중회귀모형을 활용한 ‘영향요인 연구’의 인과적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언론보도 분석
- Rasch-tree 방법을 이용한 PISA 2015 과학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적용한 초등교원의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탐색
- 중·고등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 측정을 위한 설문 도구 개발 및 타당화
- Item Parameter Drift 분석을 통한 진로성숙도 척도의 종단적 측정불변성 검증
- 혼합형 가교문항 구성 방법이 혼합형 검사 동등화에 미치는 영향
- AHP와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고등교육 질 관리 예측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