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고등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 측정을 위한 설문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570
- 영문명
- Validation of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Questionnaire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수진 정은주 김미경 김명화 박종효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6권 제1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 학교교육을 통해 인지적 성취와 함께 사회·정서적 역량을 길러내야 한다는 요구를 반영하여 중·고등학생을 위한 사회·정서적 역량을 개념화하고 사회·정서적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문헌을 토대로 사회·정서적 역량 구인으로 3개의 사회적 역량 구인(공동체 의식, 협업, 갈등해결)과 2개의 정서적 역량 구인(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중·고등학교의 학교교육 맥락을 고려한 시나리오 기반 자기보고식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을 토대로 설문 조사를 하고 문항 양호도를 검증하여 사회적 역량 21문항, 정서적 역량 문항 15문항 등 총 36문항의 시나리오 기반 자기보고식 척도 문항을 확정하였다. 후속 연구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회·정서적 역량 설문 도구를 토대로 학생 성장의 종합적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와 국가수준의 사회·정서적 역량 지표 산출을 위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wanted to conceptualiz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develop tools for measuring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This reflects the need to develop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along with cognitive achievement. Based on the various literature, three social competency constructs (community consciousness, collabor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two emotional competency constructs (stress coping, resilience) were selected a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constructs, and scenario-based self-reporting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eveloped item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goodness of the items was verified. A total of 36 items, including 21 items of social competence and 15 items of emotional competence, were confirmed as the final scenario-based self-reporting scale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ut forward and a follow-up study was proposed. For the further study, the national level Social-Emotional index has to be developed to measure the students’ grouwth as a whol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후 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중회귀모형을 활용한 ‘영향요인 연구’의 인과적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언론보도 분석
- Rasch-tree 방법을 이용한 PISA 2015 과학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적용한 초등교원의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탐색
- 중·고등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 측정을 위한 설문 도구 개발 및 타당화
- Item Parameter Drift 분석을 통한 진로성숙도 척도의 종단적 측정불변성 검증
- 혼합형 가교문항 구성 방법이 혼합형 검사 동등화에 미치는 영향
- AHP와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고등교육 질 관리 예측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