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asch-tree 방법을 이용한 PISA 2015 과학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이용수 265
- 영문명
- Exploring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in PISA 2015 Science Test with the Rasch-tree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장윤선 이주연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6권 제1호, 83~1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Rasch 모형 기반 재귀적 자료 분할을 통해 차별기능문항을 탐색하는 Rasch-tree 방법을 소개하고, PISA 2015 과학검사의 차별기능문항을 탐색하는데 적용해봄으로써 그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PISA 2015 과학검사 자료 가운데 16개 문항에 대한 이분 응답 자료와 학생, 부모, 학교, 교사, ICT영역과 관련된 41개 특성변수를 사용하여 차별기능문항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의 즐거움, 성별, 동기에 의해 총 4개의 하위집단으로 자료가 분할되었고, 분할된 하위집단 간 추정된 문항난이도의 차이가 큰 2개 문항이 차별기능문항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문항은 과학의 즐거움 정도가 높은 집단과 과학의 즐거움 정도가 낮은 여학생 집단에 따른 차별기능 크기가 컸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Rasch-tree 방법이 다양한 특성변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가능한 모든 조합의 집단 간 차별기능문항을 탐색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Rasch-tree, which is Rasch model-based recursive partitioning, as a new method for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DIF) detection and to examine its usefulness by exploring DIF in PISA 2015 Science test data with the Rasch-tree. This study used 16 items binary response of PISA 2015 Science test and 41 variables related to the student, parent, family, teacher, science, and 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four subgroups splitted by the three variables, ‘Enjoyment of Science(JOYSCICE)’, ‘gender’, and ‘Child’s past science activities(PRESUPP)’, and the two DIF items were detected. These items had large differences in the estimate item difficulty parameters between these four subgroups, especially the group of students with high level of JOYSCIE and the group of female students with relatively low level of JOYSCIE. For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Rasch-tree could be effective for exploring DIF between latent classes by considering simultaneously multiple trait variabl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후 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중회귀모형을 활용한 ‘영향요인 연구’의 인과적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언론보도 분석
- Rasch-tree 방법을 이용한 PISA 2015 과학검사의 차별기능문항 탐색
-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적용한 초등교원의 교사효능감 영향요인 탐색
- 중·고등학생의 사회·정서적 역량 측정을 위한 설문 도구 개발 및 타당화
- Item Parameter Drift 분석을 통한 진로성숙도 척도의 종단적 측정불변성 검증
- 혼합형 가교문항 구성 방법이 혼합형 검사 동등화에 미치는 영향
- AHP와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고등교육 질 관리 예측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