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iagnostic Tree Model을 활용한 수학 서술형 문항 인지진단 평가 적용 연구
이용수 121
- 영문명
- The Application of Diagnostic Tree Model to Mathematics Assessment with Constructed-Response Item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병홍(Byunghong Choi) 김래영(Rae Yeong Kim) 유연주(Yun Joo Yoo)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3권 1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풀이 단계와 전략, 관련 인지요소의 다양성을 그 특성으로 하는 서술형 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를 통해 피험자의인지요소 숙달 여부를 분석하는 인지진단모형인 Diagnostic Tree Model(DTM)을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된 수학 평가에적용하고 인지진단 결과를 분석한다. DTM 모형을 기반으로 절대부등식의 증명에 대한 서술형 문항 인지진단평가를 설계하고, 과학영재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인지 패턴 추정 결과, 검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산술-기하 평균부등식보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상대적으로 어려워함을 알 수 있었고, 부등식의 치환을 가장 숙달하지 못하였다. 문항 분석결과, 일부 문항에서 학생들이 채택하는 전략에 따라 문제해결의 난이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풀이 경로별 노드의 문항 모수추정값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DTM 모형 분석의 결과를 이용해 문항 반응의 경로를 나타내는 수형도에 개별 학생의 상세한진행 경로와 다음 단계로의 진행 확률 등을 시각화하여 나타내어 맞춤형 학습 추천과 피드백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mathematics assessments with constructed-response items using diagnostic tree model (DTM), which accommodates polytomous responses with multiple strategies and obtain diagnostic information about examinees’ attribute mastery. A cognitive diagnostic assessment evaluating the “absolute inequality” domain with constructed-response items was designed based on the DTM and administered to students attending a science high school for gifted children. The findings from cognitive diagnosis of examinees indicate that students face more challenges in mastering the Cauchy-Schwarz inequality compared with the arithmetic-geometric mean inequality, with the greatest difficulty being in the application of the substitution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that for certain test items, the estimated guess and slip parameters vary depending on the nodes of the path selected by the chosen strategy, thus indicating that the difficulty to solve the problem may depend on the strategy that the students choose. Additionally, this study suggests several methods to visualize the item response of each examinee using a tree structure and estimated parameters for the DTM and to utilize it for individualized diagnostic feedback.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빅 아이디어 접근의 이해와 실행 모델 탐색
-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 및 수학 학습의 가치화의 학교급과 내용 주제별 양상
- 다양한 분수 모델에 대한 초등학생의 수감각 및 연산능력에 관 한 연구: 영역 모델 및 수직선 모델을 중심으로
- 연결성 관점에서 본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분석 연구: 한국, 싱가포르, 홍콩을 중심으로
- GeoGebra의 ‘구성단계 네비게이션 바’와 ‘구성단계’ 기능을 활용한 과정 중심 평가 가능성 탐색
- Diagnostic Tree Model을 활용한 수학 서술형 문항 인지진단 평가 적용 연구
- 제수가 자연수인 소수의 나눗셈 계산 방법의 교육에 대한 논의
- 수학교육에서 수학 쓰기에 대한 문헌연구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학교단위 수학 성취 수준의 변화
- 수학적 태도 및 실천의 시나리오 검사 문항 타당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