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어린이(유아) 성찬’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용수 34

영문명
A Critical Study on Paedocommunion
발행기관
개혁신학회
저자명
김재윤
간행물 정보
『개혁논총』제62권, 89~12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어린이 혹은 유아 성찬을 지지하는 교회사적, 신학적, 실천적 논거에 대해서 반박하고자 한다. 어린이 성찬 지지자들은 어린이 성찬이 고대교회에 일관되게 시행된 전통으로 본다. 그러나 어린이 성찬은 고대교회에서도 항상 일관되게시행된 것이 아니었다. 3세기 이전에는 엄격하게 금지되기도 하였다. 어린이 성찬을 시행한 것으로 알려진 키프리아누스(Cyprianus)와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us) 와 같은 라틴 교부들의 성례론은 죄사함과 성례를 직접적으로 연결한 점에서 일치하였다. 개혁주의는 성례와 죄사함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지 않는다. 대신에 성례를 은혜언약의 표와 인으로 규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런 성례론의 차이가 종교개혁자들이 어린이 성찬을 시행하지 않도록 했다. 이런 어린이 성찬을 단지 아름다운전통으로만 묘사하기 보다는 성례론의 이런 차이를 좀 더 세밀하게 고려해야 한다. 개혁-장로교회들 안에서 언약-성찬으로서의 어린이 성찬을 지지하는 입장도 존재한다. 그러나 교회는 언약-공동체이자 믿음-공동체이다. 언약은 믿음을 통해서구체화된다. 유아세례에서 인쳐진 은혜 언약은 공적 신앙고백과 성찬을 통해서 실현되어야 한다. 한편으로 개혁교회에서 성례를 독자적이지 않고 믿음을 일으키는거룩한 복음 설교에 의존적이다. 개혁교회가 가진 이런 은혜의 방편들을 균형 있게배치하지 못하고 언약-일원론적인 이해를 가지는 것은 개혁신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어린이 성찬이 가지는 교육적, 선교적 논거 또한약점을 가진다. 무엇보다도 성례가 원래적 의미로 전혀 정착하지 못하고 있는 한국교회의 상황에서는 전통적인 개혁교회가 가진 유아세례-공적신앙고백-성찬의 순서와 질서를 복원하는 것이 목회적-선교적 목적을 실현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어야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refute the historical, theological, and practical arguments that support the paedocommunion. The sacrament theory of the Latin fathers, such as Cyprianus and Augustinus, known to have practiced paedocommunion, was consistent in that the forgiveness of sins and the sacraments were directly linked. Reformed theology does not directly link the sacraments and the forgiveness of sins. Instead, the sacraments are defined as signs and seals of the covenant of grace. As a result, these differences in sacramental theory prevented the Reformers from practicing paedocommunion. Rather than describing this paedocommunion only as a beautiful tradition of the ancient church, this difference in the sacramental theories should be considered more closely. There are also positions in support of paedocommunion as covenant-communion in Reformed-Presbyterian churches. However, the church is both a covenant-community and a faith-community. The covenant is embodied through faith. The covenant of grace sealed in infant baptism must be realized through public confession of faith and the Lord's Supper. On the one hand, in the Reformed Church, the sacraments are not independent, but depend on the preaching of the holy gospel that inspires faith. To have a covenant-monistic understanding without arranging the means of grace of the Reformed Church in a balanced way is no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eformed theology. Lastly, the educational and missionary arguments of supporting the paedocommunion also have weaknesses. Above all, in the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where the sacraments are not settled in their own meaning, restoring the order of the traditional Reformed church, that is infant baptism-public confession of faith-Lord’s Supper, is an important means of realizing the pastoral and missionary purpose.

목차

1. 서론
2. 교회사적 근거에 대한 고찰
3. 신학적 측면에 대한 고찰: 언약-성찬인가? 믿음-성찬인가?
4. 교육적, 선교적 근거에 대한 고찰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윤. (2022).‘어린이(유아) 성찬’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개혁논총, (), 89-120

MLA

김재윤. "‘어린이(유아) 성찬’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개혁논총, (2022): 89-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