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 눈대목의 장르분화와 현대적 재창조의 과제

이용수 40

영문명
Genre division of Pansori Nun dae mok and the task of modern re-creation: Focusing on ‘Sarangga’ in Pansori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조순자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3권 제2호, 53~8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명창의 더늠으로 발전된 <춘향가>의 눈대목 ‘사랑가’에 주목하여 판소리의 장르분화와 재창조의 과제를 모색하는 데 있다. 오늘날 판소리 ‘사랑가’는 전통판소리와 더불어 가야금병창, 창극, 크로스오버, 퓨전국악, 융합 장르 등에서 공연되고 있다. 판소리 ‘전형’의 관점에서 살핀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수관 더늠으로 전승된 ‘자진사랑가’의 사설 중 ‘음식타령’은 유파를 막론하고 모든 창자가 부르고 있다. 둘째, 음악적 특징을 살핀 결과, 동일계보에서는 사설의 붙임새와 선율구성 변화 없이 유지되었으며, 계보가 다른 창자들에서는 차이가 존재했다. 다만, 선율의 종지는 유파나 창자의 구분 없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셋째, 판소리의 파생 장르인 가야금병창과 창극은 사설을 전형대로 유지하였으며, 가야금병창은 선율진행에 변화가 있었다. 넷째, 판소리와 접목한 크로스오버, 퓨전국악, 융합장르의 경우 아니리와 창을 하나로 묶는 ‘아니리-창’의 구성방식이 공통으로 유지되었으며, 선율이나 장단에 있어 창자별 차이를 나타냈다. 21세기 판소리 재창조의 과제는 전형의 요소를 확인하는데서 출발한다. 판소리의 발전을 위해서는 전통판소리는 반드시 전형대로 전승해야 하고, 창작판소리, 가야금병창을 비롯한 타 장르와의 접목에서 판소리의 본질적 특징을 나타내는 전형의 요소가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판소리다움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할 때, 판소리의 현대적 전승이라는 재창조의 의미를 확보할 수 있다. 향후 판소리가 현대적 공연예술로 거듭날 수 있는 다양한 확산 가능성을 살려 공연현장에 접목할 수 있기를 바라며, 또한 관련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task of genre differentiation and re-creation of Pansori, paying attention to the ‘Love song’ of , which was developed through the deonum of several master singers. Today, Pansori ‘Sarangga’ is performed along with traditional Pansori in Gayageum Byeongchang, Changgeuk, crossover, fusion Korean music, and fusion genres. The details from the perspective of Pansori 'typical'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ditorials of ‘Jajinsarangga’ handed down through the deonum(더늠) of Go Soo-gwan, ‘Eumsik Taryeong(음식타령)’ is sung by all singers regardless of school.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the buchimsae(부침새) and melodic composition of the lyrics were maintained without change in the same genealogy, a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genealogies of different genealogies. However, the cadence of the melody appeared the same regardless of the class or genre. Third, Gayageum Byeongchang and Changgeuk, which are derived from genres of Pansori, maintained the lyrics as typical, and Gayageum Byeongchang had a change in melodic progression. Fourth, in the case of crossover, fusion Korean music, and fusion genres grafted with Pansori, the composition method of ‘Aniri-Chang’ was maintained in comm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by singers in melody or rhythm. The task of recreating Pansori in the 21st Century begins with identifying the elements of archetype. For the development of Pansori, traditional pansori must be handed down in its original form, and the typical elements that represen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ansori must be maintained in grafting with other genres including creative Pansori and Gayageum Byeongchang. When the identity of Pansori-likeness is maintained, the meaning of re-creation as a modern transmission of Pansori can be secured. In the future, Pansori can spread in various aspects to create modern performing arts and be incorporated into the performance field. And I hope that related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목차

1. 머리말
2. 창자별 판소리 <춘향가> 中 ‘사랑가’의 수용
3. 판소리 ‘사랑가’의 장르 분화와 재창조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순자. (2022).판소리 눈대목의 장르분화와 현대적 재창조의 과제. 인간과자연, 3 (2), 53-84

MLA

조순자. "판소리 눈대목의 장르분화와 현대적 재창조의 과제." 인간과자연, 3.2(2022): 53-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