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쟁의 공포와 임진왜란기 檄文의 선전·선동 전략

이용수 85

영문명
Fear of War and War Manifestos with Propaganda and Agitation Strategi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박정민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第73輯, 37~6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은 인간으로 하여금 공포를 야기시키며, 급박한 戰時에 대중을 선포·억압·회유하기 위해 작성되는 격문에서는 ‘공포’의 정서가 논리 설계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임진왜란기 격문을 대상으로 전쟁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인간의 공포가 문학 공간 안에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탐색해보았다. 2장에서는 임진왜란이 야기하는 전쟁으로 인한 막연한 ‘불안’과 대상에 대한 명확한 인지 후에 찾아오는 ‘공포’의 차별성을 살펴보았다. 3장과 4장에서는 격문의 논리가 전쟁 상황과 적에 대한 정보를 대중에게 알리는 ‘宣傳’, 그리고 불안한 민심을 진정시키고 대중의 참전과 협력을 촉구하는 ‘煽動’의 전략으로 구현되었음을 각각 살폈다. 그 결과 임진왜란기 격문의 ‘선전’ 전략은 독자의 막연한 불안을 명확한 공포와 분노로 변환시는 기능을 수행하고, ‘선동’ 전략은 독자의 공포를 위압시키고 휘발시키는 기능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조선의 壞滅을 방지하기 위해 작성된 임진왜란기 격문은 제어하기 힘든 불안과 공포에 무기력하게 압도되지 않으려는 인간 의지의 산물이다. 그리고 타인의 의지를 곧추세우는 임진왜란기 격문의 선전·선동 전략은 독자의 역동적 심리 변화를 이끌어내는 ‘공포’의 논리에서 비롯된 것이다. 격문을 ‘특정 독자의 격정과 행동 변화를 도모하기 위해 작성된 작가의 의도적 산물’로 간주하고 격문의 논리를 공포의 정서와 연계하여 살핀 본 연구가, 다각적인 격문 연구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War, one of the extreme situations in human history, brings ultimate fear to human. And in war manifestos(檄文) which are to be written for the purpose of declaration, oppression, and conciliation during wartime, this “fear” functions as an important factor for logic desig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is inevitable feeling during a war situation is treated in the literary field,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war manifestos writt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Chapter 2, the study examined that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roused certain emotions - a vague ‘anxiety’ about war and a ‘fear’ towards a definite object. In Chapter 3, the study confirmed that propaganda informing general people of war situ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enemy actually performed a function to develop readers' vague anxiety into definite fear and anger, by looking through propaganda(宣傳) strategies shown in the war manifestos writt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Chapter 4, it also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war manifestos written to soothe public anxiety and promote their participation in war and cooperation carried out a function to overpower(威壓) and blow away(揮發) readers' fear, by examining instigation(煽動) strategies shown in the war manifestos writt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r manifestos writte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order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product of human will(意志) not to be overwhelmed by uncontrollable anxiety and fear. And the propaganda and instigation(煽動) strategies in the war manifesto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at raised others' will based on that will comes right from the logic of fear that triggers readers' dynamic emotional change. This study considered the war manifestos as ‘a writer's deliberate product to arouse target readers’ passion and behavioral changes' and examined the logic of war manifestos, particularly in association with ‘fear’.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ore diversified war manifesto studies in future.

목차

1. 서 론
2. 임진왜란이 야기한 불안과 공포
3. 임진왜란기 격문의 宣傳 전략과 공포의 유발
4. 임진왜란기 격문의 煽動 전략과 공포의 휘발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민. (2022).전쟁의 공포와 임진왜란기 檄文의 선전·선동 전략. 대동한문학, (), 37-61

MLA

박정민. "전쟁의 공포와 임진왜란기 檄文의 선전·선동 전략." 대동한문학, (2022): 37-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