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강장애아동의 기본권 보호를 위한 대안연구

이용수 105

영문명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s: Focused on the legislation of hospital schools
발행기관
유럽헌법학회
저자명
배건이
간행물 정보
『유럽헌법연구』제40호, 279~31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동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인프라 확충은 고전적인 국가책임의 영역일 뿐만 아니라, 소아암 환자처럼 오랜 시간 병원 내 입원하는 아동의 학습권 보호는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아동의 교육이 외부환경에 의해 단절되어서는 안 된다는 교육의 지속성 차원에서 그 보호방안 마련이 국가과제로 인식되어 왔다. 병원학교는 건강장애아동(만성질환으로 인하여 3개월 이상의 장기입원 또는 통원치료 등 계속적인 의료적 지원이 필요하여 학교생활 및 학업 수행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위한 병원내 교육공간으로, 「장애인특수교육법」상 교육청 소속 특수학교 또는 일반학교의 파견학급(특수학급)이다. 의무교육 대상인 건강장애아동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병원학교는 필수적인 교육시설로 운영되어야만 함에도 불구하고, 병원학교 개원여부는 병원방침에 따라 언제든 달라질 수 있으며, 병원학교 내 특수교사의 파견 역시 지방자치단체 교육재정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국내 33곳 이상에서 병원학교가 운영되고 있지만, 교육법상 그에 대한 구체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약을 통해 해당 병원학교에 교사를 파견하여 지원하는 구조인 것이다. 교육시설의 확충 역시 학습권 보장의 주요내용이라는 점에서, 현행처럼 병원방침이나 결정에 따라 개교 및 폐교여부가 결정되는 시스템이 아니라 적어도 일정 병동 이상을 갖는 병원개원 또는 아동과 관련된 전담의료기관 지정시 치료-교육이 연계된 수단으로서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만 할 시설로 법제화 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현행 「장애인특수교육법」처럼 교육시설을 특수교육기관(특수학교 및 특수학급)과 특수교육지원센터로 구분하고 있는 체계에서는 의료기관의 공간을 빌어, 교육이 이뤄지는 병원학교 같은 시설을 해당될 수 있는 별도의 분류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학교시설의 입장에서도 병원학교는 순회교육의 대상이 되는 학급이지만 병원 내 시설이므로 안전 및 운영기준은 병원과 교육시설 양자를 고려하여 마련되어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특수교육법」상 편제를 따르기에는 한계를 갖는다. 보건복지부와 교육부의 연계가 필요한 공동관리 대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실무적 관할의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별도의 법률을 제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독일의 비교법 사례에서는 주학교법상 병원학교의 근거를 마련하고 그 세부적 기준에 대해서는 법규명령에서 별도로 지정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장애인특수교육법」상 순회교육에 관한 규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병원학교의 운영 등에 관한 법률을 별도로 제정하는 것 역시 관리 및 감독체계측면에서 장기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raditionally, expanding the infrastructure to guarantee children’s health right has been under the nation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how to protect the learning right of children hospitalized for a long time, like paediatric cancer patients, has been recognized as a national project in the educational continuity dimension where the education of children should not stop due to external environments, in order for children’s growth ad development. Hospital school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in hospital for the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s(the students who need to be hospitalized for more than three months due to their chronic diseases, or continue to need medical support like outpatient treatment, and thereby have difficulty with school life and learning). In accordance with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defined as a special school under Office of Education, or a dispatch class of general school(special class). In order to guarantee the learning right of children with health impairments, who should have compulsory education, it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operation of hospital school as an essential national project. Nevertheless, whether to open a hospital school depends on a hospital’s policy, and dispatching a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a hospital school relies on the educational finance of a local governme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hildren are able to set the required number of school days through distance education in hospital and to complete their curriculum. However, face-to-face class in hospital school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the individual guidance through interaction with children, which is impossible in distance education, and to serve as the preparation process to return to their original classes after discharge. From the standpoint of child students, it is a very important way to guarantee their learning right. Opening and closing a hospital school should not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hospital policy. Instead, it is required to legislate on hospital school as an essential institution secured for treatment and education at the time when a hospital with a certain wards is open or when a medical institution for children is designated. In accordance with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 educational institution is classified into a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pecial school and special class) and a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 the current system, such institutions like hospital school where education is provided in a separate space of medical institution have no classification. From the standpoint of school institutions, hospital school is the class of itinerant education, but is an institution in hospital.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afety and operation criteria of both hospit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 To do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following the system in accordance with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Hospital school is highly likely to be the subject of co-management in association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Given the speciality of practical control, it is effective to enact separate legislation. In Germany, a law related to county schools lays the foundation for hospital schools, and detailed standards are separately set forth in legal orders. Given that, maintaining the provision about itinerant education in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enacting a law about the operation of hospital school, etc. will become a long-term alternative from the perspective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목차

Ⅰ. 서론
Ⅱ. 건강장애아동의 기본권 보호
Ⅲ. 건강장애아동을 위한 병원학교 법제화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건이. (2022).건강장애아동의 기본권 보호를 위한 대안연구. 유럽헌법연구, (), 279-313

MLA

배건이. "건강장애아동의 기본권 보호를 위한 대안연구." 유럽헌법연구, (2022): 279-3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