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추측 표현의 통사·의미 연구

이용수 89

영문명
Syntactic & Semantic Investigations into Speculative Expressions of Korean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안주호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68호, 97~12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양태(modality)란 “화자가 명제 내용에 관해 갖는 심리적 태도”로서, 이 중 추측을 나타내는 형태로는 한국어에서는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의존명사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모양이다}, {것 같다}, {듯하다} {법하다}, {성싶다}, 그리고 동사구로 이루어진 {-지 모르다} {-ㄹ까 싶다}, {-ㄴ나 보다} 등을 중심으로 이 형태들의 통사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의미적으로 나누어 보았다.이 형태들의 의미는 크게 ‘추측’이지만 명제내용인 사태가 얼마만큼 이루어질 수 있느냐의 확실성에 따라, [가능성 추측, 개연성 추측, 확연성 추측]으로 나누었다. 확실성의 강도가 가장 높은 ‘확실성 추측’에는 {것이다}가 해당되며, 사태의 가능성이 가장 낮은 ‘가능성 추측’에는 {모르다}와 {싶다}, {보다} 등이 해당되며, 나머지는 개연성 추측에 해당된다. ‘개연성 추측’의 형태는 의미 변별이 쉽지 않은데, 추측의 근거로 삼은 것이 “객관적인 대상”인가, “주관적인 대상”인가에 따라 나누었는데, ‘이전 화자의 진술과 같은 발화내적 근거 사실을 통해 사태를 미루어 짐작하는 객관적인 표현 형식인 전자에는 {모양이다, 법하다, 보다} 등이 해당되고, ‘화자 내부적 관점을 견지하며, 직접 경험에 의한 가치 판단의 화맥’에 사용되기 때문에 주관적인 표현 형식‘인 후자에는 {듯하다, 성싶다} 등이 해당된다. 이에 비해 {것 같다}는 비교적 제약이 없이 자유롭게 쓰인다.

영문 초록

Modality category refers to the “psychological attitudes that the speaker holds toward the statement content,” and among them there are many modes representing 'speculation(guessing).' They include {-겠-} type, composed of single morpheme, {것이다}, {모양이다}, {것 같다}, {듯하다}, {법하다}, {성싶다} composed of dependent noun, and {-지 모르다}, {-ㄹ까 싶다}, {-나 보다}, etc. made up of verbal phrase complement. In the present study syntactic and semantic differences among these morphemes are discussed. Although they all means mostly 'speculation', they can be divided into 'possible speculation, probable speculation, affirmative speculati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certainty which the condition contained in the statement content is to be realized with. The forms {-겠-} and {것이다} belong to the affirmative speculation of the highest degree of certainty and {-나 싶다}, {-ㄹ지 모르다} and {-ㄹ까 싶다} belong to the possible speculation of the lowest certainty, while the rest belong to the probable speculation category. Although making semantic differentiation between the expressions of probable speculation is not easy, the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f 'objective object' or 'subjective object,' depending on the basis of speculation. The former category which is an objective expression type speculating on the condition based on a shared communicative between speakers includes such expressions as {모양이다, 법하다, 보다}, and so on, whereas the latter category 'which is based on the judgment made in view of the direct experience while withholding the internal perspective of the speaker' include {듯하다}, {성싶다}, and so forth.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 {것 같다} is used more or less freely without many constraints.

목차

1. 문제제기
2. 추측표현에 대한 선행연구
3. 추측표현의 형태적 특성
4. 추측표현의 통사적 특성
5. 한국어 추측표현의 의미별 분류
6. 맺은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주호. (2004).한국어 추측 표현의 통사·의미 연구. 새국어교육, (), 97-121

MLA

안주호. "한국어 추측 표현의 통사·의미 연구." 새국어교육, (2004): 97-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