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양주동의 「절충주의 문학론」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f Yang, Ju-dong's Eclectic Literature Theory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양윤모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68호, 321~33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양주동은 1925년 카프가 결성된 이후 프로문학과 국민문학으로 문단이 양분되어 대립된 현실을 타개하고자 절충주의적 문학론을 전개하면서 양측의 문학을 통합하고자 하였다. 프로문학과 민족주의문학은 모두 식민지의 현실에 대한 대응에서 그들의 문학론을 표방하였지만, 그 내용은 상반되었다. 프로문학에서는 무산계급의 투쟁을 강조하여 민족 의식보다 계급 의식을 강조하였다. 반면 민족주의문학은 문화적 전통을 중시하여 민족언어의 우수성을 고양하며 동포애를 진작시키며 현실 대응을 위한 민족적 단합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문학의 건설을 역설하였다. 그러나 프로문학이 내용을 중시하여 문학의 예술성이 부족한 반면, 민족주의 문학은 감정에 호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양주동은 문단의 좌우파의 대립을 지양하고 합치점과 차이점을 모색하여 새로운 민족문학의 건설을 주장하면서 절충주의 문학론을 내세우게 된다. 양주동은 ‘조선인은 무산계급인 동시에 민족 구성원’ 또는 ‘무산계급적 민족의식 내지 민족적 무산계급의식’을 주장하며 그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그는 프로문학이 내세우고 있는 사회 현실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그 실천 등에 공감하면서도 문학을 사회현상의 발현으로만 해석하려는 태도에 반대한다. 양주동은 프로문학에 반대하던 민족주의문학에 대해서도 이론적 토대가 거의 없었고 그 당위성만을 주장한다고 비판하였다. 하지만 양주동은 중립적이고 객관적 입장에서 이들 양자간의 절충과 통합을 시도한 것이 아니라 ‘민족주의문학파’의 입장에 치우쳐 절충주의 문학을 표방함으로써 절충과 통합에 실패한다.양주동의 절충주의 문학론은 민족 내부의 계층간의 단합, 좌우문학파간의 제휴를 주창한 사실 자체로는 식민지 시대의 민족주의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는 것이었지만, 그 단합제휴의 방법론 면에서 관념성을 벗어나지 못하여 실질적인 기여를 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그의 절충주의 문학론은 실패하였지만, 양극단으로 갈라져 대립된 문단을 통합하려고 시도한 노력은 문학사적으로 중요한 성과일 것이다.

영문 초록

Yang, Ju-dong hoped to consolidate both literatures, developing the eclectic literature to surmount the antagonistic situation in which the world of letters has been polarized into proletarian literature and national literature after KAPF's organization in 1925. Both proletarian literature and nationalistic literature standed on the basis of the Japanese colony, but their mottoes were ambitendency. Proletarian literature advocated class consciousness than ethnic. But nationalistic literature accentuated to construct literature for unite of nation. So they were ambivalent. Yang, Ju-dong should compromise that antagonistic situation. He argued eclectic literature for consolidated new national literature against antagonistic situation. He agreed on Proletarian literature's actuality but objected literature for socialistic revolution. And he clobbered nationalistic literature that they argued sophistication of anti-proletarian literature. But he failed to compromise and to consolidate, because neither neutrally nor objectively. He should compromise both but based on nationalistic literature. Yang, Ju-dong's eclectic literature theory had failed but attempt of consolidation is meaningful o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목차

1. 절충주의 문학론의 대두 배경
2. ‘절충주의 문학’의 형성 배경
3. 양주동의 ‘절충주의 문학론’
4. 양주동 절충론의 문학사적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윤모. (2004).양주동의 「절충주의 문학론」 연구. 새국어교육, (), 321-337

MLA

양윤모. "양주동의 「절충주의 문학론」 연구." 새국어교육, (2004): 321-3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