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읽기 교육 이해질문 분석 연구
이용수 93
- 영문명
- A Study of the analysis of comprehension questions in teaching Korean reading: Focused on the comprehension questions in the Korean reading materials for academic purpos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구민지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2호, 495~52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자언어를 이해하는 행위인 읽기는 텍스트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배경지식을 이용하여 내용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창의적으로 재구성하는 일련의 인지과정이다. 텍스트의 표면적 내용에 대한 단순한 이해를 넘어서 학습자의 창조적인 이해 즉, 텍스트에 대한 추론, 비판, 평가 등의 단계까지 학습자를 이끌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읽기 활동은 바로 질문하고 대답하는 활동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읽기 교재의 이해질문이 효과적으로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적 읽기를 도모하며 학습자의 창조적인 이해를 유도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현재 출판된 한국어 교재 중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텍스트 이해질문을 분석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학문목적 한국어 교재 4종에 수록되어 있는 팔백 여 문항의 이해질문을 분류해 본 결과 사실적 질문이 전체의 9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문 목적 읽기 교재에 상위-확산 질문이 상당히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드러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importance of the comprehension question in teaching of KAP reading, and to find out whether the comprehension questions in KAP reading materials make the learner based interactional reading effectively and learner's creative understanding or not.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analysis of the comprehension questions(about 800 questions) in the published reading materials for the academic purpose with the specific criterion of this study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actual question accounts for about 90% of all, which means the critical lack of a higher open-ended questions.
목차
1. 들어가며
2. 분석대상 및 방법
3. 이해질문 분석
4. 이해질문의 상호작용적 활용 방안
5.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수업 관찰 이야기를 통한 수업 비평에 관한 연구
-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방안에 관한 소고
- 일본의 한국어 교육 및 규범성 문제
-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連作에 대한 技術批評的 분석
- 문학 수용과 생산의 매개
- 학습단계와 학습 목표를 고려한 토론식 수업 활성화 방안
- 초등교사의 국어 수업에 대한 교육생애사 이야기
-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연구
- 요인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전략 범주화 연구
- 문법교육의 소통적 관점에 관한 고찰
- 한국어교육 연구의 균형화와 전문화를 위하여
- 한국어 숙달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쓰기적 사고력’에 관한 연구 I
- 한국어 읽기 교육 이해질문 분석 연구
- 디지털 시대 국어교사의 인지활동과 쓰기 평가의 상관 연구
- 소설의 환상성 읽기를 통한 소설교육의 가능성 고찰
- 매체 생태학의 관점을 반영한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내용 연구
- 국어과 통합교육 개선 방안 연구
- 독서의 가치에 대한 비판적 소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1호 목차
- ChatGPT를 활용한 쓰기 채점 및 피드백 방안 - 프롬프트 전략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다국적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도 제고를 위한 소집단 활동 연구 - 입장 취하기와 역할 변화 양상을 중점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