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과 통합교육 개선 방안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Improvement Way of Korean language Integrated Education: Around Process of Text Reception-Produc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종률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2호, 131~16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11년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밝힌 <화법과 작문>, <독서와 문법>의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문제점을 텍스트 수용-생산의 언어활동, 언어적 사고, 언어지식 측면에서 살펴보고, 그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국어과 통합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2011년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작문은 텍스트의 수용적 측면을 기술하지 못하고, 독서는 텍스트 수용-생산의 언어활동을 보여주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점과 더불어 화법·작문·독서에 제시된 텍스트 유형과 언어적 사고의 유형 관계는 분리주의적 관점을 지향하고 있다. 또 하나의 문제는 문법이 언어활동의 기저 지식 체계로만 기술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수용-생산 과정에서 언어활동, 언어적 사고, 언어지식을 하나의 유기체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어과 통합교육의 개선 방안은 언어활동, 언어지식, 언어적 사고의 통합교육 모델로 제시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improvement way of Korean language integrated education as problem-solving by watching the problem about curriculum content of ‘speech and writing’, ‘reading and grammar’ described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2011 in terms of language activity, verbal thought, knowledge of language of text reception-production.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2011, receptive aspects of the text are not described in writing and language activity of text reception-production are not described in reading. In addition to these problems,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text presented in speech, writing, reading and types of verbal thought presented in speech, writing, reading shows point of separation. Another problem is grammar as a base knowledge system of language activity.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language activity, verbal thought, knowledge of language should be set of an organism in process of text reception-production. From this perspective, improvement way of Korean language integrated education can be presented as a integrated education model of language activity, knowledge of language, verbal thought.
목차
1. 머리말
2. 통합교육의 문제점
3. 통합교육의 개선 방안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수업 관찰 이야기를 통한 수업 비평에 관한 연구
-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방안에 관한 소고
- 일본의 한국어 교육 및 규범성 문제
-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連作에 대한 技術批評的 분석
- 문학 수용과 생산의 매개
- 학습단계와 학습 목표를 고려한 토론식 수업 활성화 방안
- 초등교사의 국어 수업에 대한 교육생애사 이야기
-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능력 연구
- 요인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전략 범주화 연구
- 문법교육의 소통적 관점에 관한 고찰
- 한국어교육 연구의 균형화와 전문화를 위하여
- 한국어 숙달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 ‘쓰기적 사고력’에 관한 연구 I
- 한국어 읽기 교육 이해질문 분석 연구
- 디지털 시대 국어교사의 인지활동과 쓰기 평가의 상관 연구
- 소설의 환상성 읽기를 통한 소설교육의 가능성 고찰
- 매체 생태학의 관점을 반영한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내용 연구
- 국어과 통합교육 개선 방안 연구
- 독서의 가치에 대한 비판적 소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1호 목차
- ChatGPT를 활용한 쓰기 채점 및 피드백 방안 - 프롬프트 전략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다국적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도 제고를 위한 소집단 활동 연구 - 입장 취하기와 역할 변화 양상을 중점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