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 캘리포니아 공통핵심기준 ‘수와 연산’ 영역 비교에 의한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 개선 연구
이용수 59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Mathematics Achievement Standards by Comparison with the ‘Number and Operations’ in the CA CCSSM of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한경임(Han, Kyung-Im) 최다영(Choi, Da-You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4권 제1호, 149~18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미국 CA CCSSM의 ‘수와 연산’ 성취기준을 비교·분석하고, 초·중등 특수교사들의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인식과 개정 요구를 바탕으로 향후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의 개선 방향을 살펴보는것이었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분석으로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와 CA CCSSM의 성취기준을 ‘수와 연산’ 영역에서, 자연수, 자연수의 덧셈·뺄셈, 자연수의 곱셈·나눗셈, 분수 개념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둘째, 부산, 경남 지역에서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육경력 4년~19년의초·중등 특수교사 총 14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와 CA CCSSM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 도입 시기, 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FGI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4개의 주제와 8개의 범주, 14개의 하위 범주로 분석되었다. 논의 및 결론: 논의 결과 향후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을 수학 내용에 따라 구체적이고 상세한 기능 동사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정의 학년 군제 시행을 재고하고, 교사가 특수교육 대상 학생 수준에 맞는 성취기준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성취기준 구성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수와 연산 영역 성취기준 연구에 기초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Mathematics and CA CCSSM(California Common Core State Standards-Mathematics) of USA, and to search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Basic Curriculum Mathematics achievement standards. Method: First, literatur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mpare the 2015 Basic Curriculum Mathematics and CA CCSSM in the “number and operation” area. Second, FGI with 14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of CA CCSSM were more than the Basic Curriculum. The type of skill of CA CCSSM were more various than the Basic Curriculum.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ggested the change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Basic Curriculum considering various types and disabilities of students and the mathematical hierarchy rather than grade group.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ath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학생의 제조업 현장실습에 요구되는 기초 직업기술 중요도에 대한 특수교사와 산업체 직원의 인식 비교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을 위한 미술 매개 중재 연구 경향 분석
- 신규 한국어강사의 교육적 삶에 대한 이해
- 기초학습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경기도 S시 초등학교 3학년의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 읽기검사 : 2019년, 2021년 결과 추적 연구
- 미국 캘리포니아 공통핵심기준 ‘수와 연산’ 영역 비교에 의한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 개선 연구
- 지역 문화예술단체 사례를 통한 문화예술교육공동체로의 활용 가능성 모색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Study o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Inquiry-Based STEM Education: Creating a Stable Multivibrator for a Bee
- H-SS L essons Alive with Dramatic Expressions and Visual Arts Integration: Effective Learning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with Dyslexi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