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학생의 제조업 현장실습에 요구되는 기초 직업기술 중요도에 대한 특수교사와 산업체 직원의 인식 비교
이용수 12
- 영문명
- Perception Comparison of Special Teachers and Industry Employees on the Importance of Basic Vocational Skills Required for Manufacturing Industry Field Training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조윤기(Jo, Yoon-Gi) 이미숙(Lee, Misuk) 양소현(Yang, Sohyun)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4권 제1호, 125~1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제조업체 현장실습에 필요한 기초 직업기술 중요도에 대한 특수교사와 산업체 직원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D와 CH 지역의 특수학교 교사와 산업체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기술통계 및 t-test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기초 직업기능’에서 특수학교 교사와 산업체 직원은 ‘안전수칙을 알고 안전수칙 지키기’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직무수행기능’에서 특수교사는 ‘직무 순서에 따라 올바르게 수행하기’를, 산업체 직원은 ‘불량품 없이 작업을 정확하게수행하기’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셋째, ‘사회성 및 일상생활 기능’은 특수교사와 산업체 직원모두 ‘직장의 정해진 규율 지키기’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결론: 마지막으로, ‘직무수행기능’과 ‘사회성 및 일상생활 기능’에서는 특수교사가 산업체 직원에 비해 보다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산업체 직원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기초 직업기술들을 발달장애학생의 직업 관련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산업체 맞춤형의 직무지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urvey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dustry employee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basic vocational skills, which are necessary for train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manufacturing field.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i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manufacturing industry employees in D and CH areas. And SPSS 24.0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earchers employ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Results: In the area of ‘basic vocational skills’,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dustry employees recognized ‘knowing safety rules and following safety rules’ as the most important skill. In the ‘job performance function’ area,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performing properly as ordered’ the most, and the industry employees responded ‘performing work accurately without making defects’. In the ‘sociality and daily life function’ area, both groups recognized ‘following rules’, as the most critical skill. In the areas of ‘job performance function’ and ‘sociality and daily life function’, the mean valu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industry employe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ut more emphasis on basic vocational skills, sociality, and daily life area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afety and first ai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technology that industry employees recognize as important in the curriculum. Industry-tailored job guidance for industries is need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학생의 제조업 현장실습에 요구되는 기초 직업기술 중요도에 대한 특수교사와 산업체 직원의 인식 비교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을 위한 미술 매개 중재 연구 경향 분석
- 신규 한국어강사의 교육적 삶에 대한 이해
- 기초학습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경기도 S시 초등학교 3학년의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 읽기검사 : 2019년, 2021년 결과 추적 연구
- 미국 캘리포니아 공통핵심기준 ‘수와 연산’ 영역 비교에 의한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 개선 연구
- 지역 문화예술단체 사례를 통한 문화예술교육공동체로의 활용 가능성 모색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