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초학습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경기도 S시 초등학교 3학년의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 읽기검사 : 2019년, 2021년 결과 추적 연구
이용수 67
- 영문명
- Results of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s of 3rd Grad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upport Program for Underachieving Students in the S City of Gyeonggi-do: A Follow-up Study, 2019 through 2021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동일(Kim, Dongil) 김희은(Kim, Heeeun) 이연재(Lee, Yeonjae)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4권 제1호, 35~5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Kim, Dongil1ㆍKim, Heeeun2ㆍLee, Yeonjae3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경험하고 있는 경기도 S시 3개교 초등학생들의 읽기발달을 2019년, 2021년에 확인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동일한 초등학생 206명의 2019년 어휘 검사를 기준으로 상위, 중위, 하위 20%를 선별하여2019년과 2021년 LDST, BASA 빈칸채우기, 어휘, 읽기이해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학생들은 어휘를 제외하고 코로나19 후에 유의미한 점수 향상을 보였다. 어휘 성취가 상위20%였던 학생은 빈칸채우기 점수가 유의하게 하락하였고, 중위 20%였던 학생은 유의한 변화를보이지 않았지만 평균 원점수가 약 1점씩 상승하였다. 하위 20%인 학생은 빈칸채우기와 읽기이해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교 3학년생의 읽기 발달과 어휘수준에 따른 집단의 읽기 발달 변화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ading development during COVID-19 by comparing 2019 when students were 3th graders and 2021 when they became 5th graders assessment result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0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in third grade in 2019 and fifth grade in 2021. Based on the 2019 BASA: vocabulary test, the upper, middle, and lower 20% were selected and the results of LDST, BASA maze, vocabulary,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s were compared. Results: Al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score improvement after COVID-19, excluding vocabulary. Students with the upper 20% vocabulary achieve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ir maze test scores, and students with the middle 20%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but the average original score rose by about 1 point. Students in the low 20%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maze and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s discuss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학생의 제조업 현장실습에 요구되는 기초 직업기술 중요도에 대한 특수교사와 산업체 직원의 인식 비교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을 위한 미술 매개 중재 연구 경향 분석
- 신규 한국어강사의 교육적 삶에 대한 이해
- 기초학습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경기도 S시 초등학교 3학년의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 읽기검사 : 2019년, 2021년 결과 추적 연구
- 미국 캘리포니아 공통핵심기준 ‘수와 연산’ 영역 비교에 의한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 개선 연구
- 지역 문화예술단체 사례를 통한 문화예술교육공동체로의 활용 가능성 모색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