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규 한국어강사의 교육적 삶에 대한 이해
이용수 24
- 영문명
-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Life of New Korean Lecture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정연숙(Cheong Yeun Sook) 박창언(Park Changun) 김필성(Kim Pil S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4권 제1호, 53~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신규 한국어강사가 한국어교원양성과정을 이수하고 현장에서 교수활동을시작하였을 때의 경험과 신규강사로서 기관에서 살아낸 삶을 연구하여 신규강사에게 필요한 역량과 역량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제도적 개선은 무엇인지에 대하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목적표집을 통해 선정한 연구자의 내러티브를 연구하였고 홍영숙(2020)의 내러티브분석방법을 연구분석을 위한 큰 틀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김 선생님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는 크게 교수역량에 대한 경험과 교수 외 역량에 대한 아쉬움으로 나눌 수 있었다. 논의 및결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강사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해 국가적 차원의 노력과 기관 내부의 노력이 필요하며 교원양성을 위한 교과목은 현장친화적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강사로서의 역량을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교사학습 공동체 활성화 등의 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논의했다.
영문 초록
Purpose: In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novice Korean language instructors when they completed the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started teaching in the field and the life they lived at the institution as a novice instructor, the systemic improvement necessary to improve the competency and competency required for new instructors is We wanted to find out what it was. Method: The narrative analysis method of Hong Young-sook (2020) was used as a large frame for research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Ms. Kim's narrative, it can be divided into a lack of teaching competency experience and interactive relationship competency. Conclus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teaching competency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at the national level and within the institution. In addition, measures such as revitaliz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 instructors can maximize their competenc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학생의 제조업 현장실습에 요구되는 기초 직업기술 중요도에 대한 특수교사와 산업체 직원의 인식 비교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을 위한 미술 매개 중재 연구 경향 분석
- 신규 한국어강사의 교육적 삶에 대한 이해
- 기초학습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경기도 S시 초등학교 3학년의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 읽기검사 : 2019년, 2021년 결과 추적 연구
- 미국 캘리포니아 공통핵심기준 ‘수와 연산’ 영역 비교에 의한 2015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수학과 성취기준 개선 연구
- 지역 문화예술단체 사례를 통한 문화예술교육공동체로의 활용 가능성 모색
-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