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함께 가꾸고 배움이 있는 숲
이용수 2
- 영문명
- Cultivating and Learning Together in the Forest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선중(Kim, Seon-Joo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1권 제1호, 91~10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산은애학교의 숲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에부산은애학교에서 진행하는 숲 프로그램의 모형과 운영 실제를 소개하고 프로그램 운영 효과와 이후기대효과에 대해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부산은애학교 숲 프로그램은 교직원과 학생, 학부모를대상으로 휴식과 여유의 공간, 여가시간 활용 및 정서순화, 학습활동 극대화라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에 숲 체험프로그램, 산책 프로그램, 부모참여 숲 체험 교육, 은애가족 숲 체험 캠프를 진행하였다. 논의 및 결론: 결론적으로 부산은애학교 숲 프로그램은 학생, 교사, 학부모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환경교육에 대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on forest program of Busan Eunae Special School.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we introduced on forest program model of Busan Eunae Special School and how they conduct the program. Through this, we presented the effect of conducting program and future effect.
Results: Forest Program of Busan Eunae Special School was developed to make the space of relaxation and to maximize the using leisure time, emotional refinement, learning activities. To do this, Forest experience program, Walking-in-the-forest program, Parent participation education, Forest experience camp was progressed.
Conclusion: This sample study showed that Forest program of Busan Eunae Special School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teachers, parents and we can expect a great effect on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i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