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자아탄력성 및 부부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
- 영문명
- A Study of Effects of Parental Ego-resilience and Marital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미경(Kim, Mi-Kyung) 노진형(Noh, Jin-Hy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1권 제1호, 73~9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자아탄력성 및 부부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 경상남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3세~만 5세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거하여 최종 294부를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자아탄력성, 부부관계 및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부모의 학력, 소득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자아탄력성과 부부관계는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부모의 자아탄력성과 부부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부모의 자아탄력성과 부부관계 증진을 위해서는 단순이 자녀 양육지식 및 기술 뿐 아니라 부모의 개인적이고 심리적인 특질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부모-교사 협력을 통한 유아교육공동체 형성의 중요성이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Present study identified how parental ego-resilience and marital relationship affect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Particular focus was paid on the effects and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e parents of 3-5 years old 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Kyeongsangnamdo. 313 questionnaires were finally entered for data analysis. Parental Ego-resilience, marital relationship, Ego-resilience of child was assessed by mother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3.0. Results: Firstly, parental ego-resilience, marital relationship and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were different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background: Secondly, parental ego-resilience and marital relationship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Considering the fact that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was affected by parental ego-resilience and marital relationship, parental variables should be treated as important as promotive program of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Conclus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par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more in-depth including psychological nature of parents. In, addition building early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by parent-teacher-cooperation is addres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