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통한 유아교사의 기관 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가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
- 영문명
- The Effect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Member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Competence for Buil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through Mediated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지연(Kim, Jiyeon)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1권 제1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해 유아교육의 주체인 교사의 역량을 증진하고자 유아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매개하여 기관 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가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교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유아교사 59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임파워먼트, 관계만족도 그리고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SPSS 18.0을 활용하여 변인들과의 상관관계와 회귀분석 절차을 실시하였고 Sobel test(Sobel, 1982)룰 통해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이에 본 연구 결과는 첫째, 기관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와 심리적 임파워먼트 그리고 교육공동체 교사 역량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관구성원과의 관계만족도와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 하위요인들과 전체 역량과의 각각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유아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시사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member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competence for buil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90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y answered questions from questionnaire.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Results: The result is tha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correlations between relationship saticfaction with members of kindergarten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competence for buil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Second, teacher’s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mediating effects in pa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members and competence for buil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supporting to enhance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buil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community would be need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