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양 정릉사지 문자자료 검토와 과제

이용수 109

영문명
A Study on the Literature of Jeongneungsa Temple Site in Pyongyang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저자명
오택현
간행물 정보
『중앙사론』제57집, 39~7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북한의 국보유적 제173호 평양 정릉사는 고구려 시기에 만들어진 사찰이다. 북한이 발간한 발굴보고서에 따르면 이 사찰은 그 앞에 위치한 傳 동명왕릉을 위한 능사라고 한다. 사찰터에서 발굴된 문자자료를 통해 사찰의 이름과 성격(능사)을 확인하였지만, 정릉사가 傳 동명왕릉의 능사였던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1964년 북한에서 발간한 발굴보고서의 정식 명칭은 『동명왕릉과 그 부근의 고구려 유적』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해당 발굴보고서는 동명왕릉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명왕릉 주변의 무덤은 동명왕릉을 호위하는 무덤(배총의 개념)으로 보았다. 그리고 정릉사는 역시 동명왕릉을 위한 능사라고 서술하였다. 또한 사역이 대칭적이지 않은 점에 대해 사찰과 궁전 유적의 결합이라며 그 특수성을 부각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정릉사를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평양 정릉사지 연구의 문제점을 언급하고, 앞으로 정릉사지 연구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우선 傳 동명왕릉과 정릉사를 분리해서 이해하고, 집안의 수묘의 개념을 이용해 傳 동명왕릉과 주변의 무덤을 한데 묶어 하나의 무덤군으로 이해함으로써 정릉사를 진파리 고분군 전체의 능사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이해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정릉사지 내에서 확인된 팔각기간을 고구려의 특징으로 강조하고 있는데, 그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대적 상황을 염두에 둘 필요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Jeongneungsa Temple in Pyongyang, North Korea's state-owned No.173, was built during the Goguryeo period. According to an excavation report published by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temple is the tomb of King Dongmyeong, located in front of it. However, the name and nature of the temple (Nungsa Temple) were confirmed through the literature excavated from the temple site, and it is unclear whether Jeongneungsa Temple was the tomb of King Dongmyeong. An excavation report published in North Korea in 1964 focused on the tomb of King Dongmyeong, and the area around the tomb of King Dongmyeong was considered to be the tomb guarding the tomb of King Dongmyeong. Jeongneungsa Temple is also described as the tomb of King Dongmyeong.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scope of the temple is not symmetrical emphasizes its specificity as it is a combination of the temple and the ruins of the palace. This is an obstacle to understanding Jeongneungsa Temple.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mention the problems of research on Jeongneungsa Temple Site in Pyongyang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on Jeongneungsa Temple Site. First, Jeongneungsa Temple is understood as a tomb group by dividing Dongmyeong Royal Tomb and Jeongneungsa Temple, and Jeongneungsa Temple has the characteristics of Neungsa Temple of the entire Jinpa-ri Ancient Tombs using the concept of family tomb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the octagonal flag identified within Jeongneungsa Temple Site is emphasized as a characteristic of Goguryeo, and it is necessary to keep various situations in mind.

목차

Ⅰ. 머리말
Ⅱ. 출토 문자자료를 통해 본 정릉사지
Ⅲ. 정릉사 연구의 현황과 한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택현. (2022).평양 정릉사지 문자자료 검토와 과제. 중앙사론, (), 39-72

MLA

오택현. "평양 정릉사지 문자자료 검토와 과제." 중앙사론, (2022): 39-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