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4장 북한의 학교 음악교육 변천

이용수 5

영문명
A Study on Transition of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of North Korea
발행기관
한국통일전략학회
저자명
박균열 성현영 양희철
간행물 정보
『통일전략』10권 3호, 145~18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의 신탁통치 기간과 직후 기간 동안 학교 음악교육의 변화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은 신탁통치 직후 소련의 영향을 받아 학교음악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산주의적 인간을 육성하고자 도모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으로 북한음악교육은 사상주입을 위한 정치적 도구로 이용되고 있으며, 음악교과를 심미적인 예술적 관점이 아닌 정치적 사상도구로서의 역할이 더 강했다. 소련 군정에 의한 신탁통치 기간 동안에는 주로 사회주의적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국가 공동체의 기본적인 틀을 형성해야 한다는 대전제 하에, 프롤레타리아 예술관에 입각하여 음악교육이 실시되었다. 따라서 전투적이고 사상적인 가사내용이 주류를 이루었다. 북한의 학교 음악교육도 이와 같은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여, 학생들을 사회주의 전사로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음악이 동원되었다. 소련 군정 이후 북한은 한동안은 사회주의적 이데올로기를 고수하다가 스스로의 자체적인 국가이데올로기인 주체사상을 제시하면서, 하위 분과 형식으로 주체음악이 제기되었다. 이 시기의 음악은 자체가 가진 보편적인 형식과 기법이라기보다는 음악 분야에서 주체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구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이 반영되어 학교 음악교육 교육에서도 북한 최고지도자에 대한 경의를 표현하는 가사형식이 많았다. 결국 소련 군정을 전후한 북한의 학교 음악교육의 특징 변화는 크게 발견되지는 않지만, 음악자체가 독립변수가 아니라 정치와 사상의 종속변수에 지나지 않다는 점은 명확해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ransition of North Korea's Music Education in Schools through Trusteeship by Past Soviet Union and thereafter. During the early period, North Korea had got influenced by Past Soviet Union, based on this tradition, it had promoted communism based human being model. The North Korea music education had been used for political and ideological instrument, not for a point of aesthetic views. During the trusteeship period, to build up the stem of Nation, North Korea had driven the proletarian aesthetics mind as socialism ideology. 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was so combatant and ideological. These tradition had been applied for raising warrior for socialism to School field. After the trusteeship, temporarily North Korea had sticked to socialism ideology and moved to Juche thought (Juche Sasang) to adjust itself to changed environment. This period music seemed a slogan to execute the Juche thought. So this Juche music (Juche Eumak) showed many types of respect to the political leader. Finally, this paper knew that there were no more eccentric transitional characteristic before and after the trusteeship. It was sure that music was not independent variable just but dependent variable.

목차

Ⅰ. 서론
Ⅱ. 공산주의 국가의 학교 음악교육 특징
Ⅲ. 소련 군정기의 북한의 학교교육 및 음악교육
Ⅳ. 소련 군정기 이후의 학교 음악교육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균열,성현영,양희철. (2010).제4장 북한의 학교 음악교육 변천. 통일전략, 10 (3), 145-180

MLA

박균열,성현영,양희철. "제4장 북한의 학교 음악교육 변천." 통일전략, 10.3(2010): 145-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