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서술어의 사건 구조
이용수 11
- 영문명
- The Event Structures of Korean Predicates: Focus on Jeju Dialect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우창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8호, 437~46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글은 제주 방언을 중심으로 서술어의 기본 사건 구조와 파생 사건 구조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Pustejovsky(1991, 1995)에서 전제했던 동사를 네 유형으로 구분하는 것이 제주 방언의 동사 유형을 설명하는데 맞지 않음을 보이고 ‘순간’ 유형을 따로 구분할 필요가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따로 구분된 ‘순간’ 유형의 특성을 반영한 사건 구조인 ‘순간’ 사건 구조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상태, 순간, 행위, 완성, 성취’ 유형의 대표적인 동사를 통해 기본 사건 구조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 과정을 통해 ‘상태’는 ‘상태’의 사건 구조만을 갖고 ‘행위’는 ‘과정’의 사건 구조만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단순 사건 구조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완성’은 ‘과정’과 ‘상태’의 두 사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과정’의 사건 구조가 명세화 된다는 사실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성취’ 역시 ‘과정’과 ‘상태’ 두 사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태’의 사건 구조가 명세화 된다는 사실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기본 사건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이 서술어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 기본 사건 구조는 새로운 사건 구조로 파생될 수 있음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features of basic event structure and extended event structure of predicate of Jeju Dialect. I present the proofs that the four types that the approach of Pustejovsky(1991, 1995) suggested category for verbs is not fit to Jeju dialect and I suggest independently additional type of moment. I also suggest that the event structure of moment needs to reflect the features of moment type of verbs. I firstly justified the structures of the states, the semelfactives, the achievement, the actives, and the accomplishment presenting the typical verbs each. I made assure that the state verb has only the state structure, the actives has only the process one. I called this basic event structure. I, the second, suggest that accomplishment verb has features of both the process and of the state. If there is no element intervening the event structure, the process of event structure would be specified. The third, the achievements one also one has features of both the process and the state. but in case there is no element intervening the event structure, the process of event structure would be manifested unlike the accomplishment ones. The last, the basic event structure will be extended in case the element effecting the basic one appears.
목차
1. 서론
2. 기본 사건 구조
3. 파생 사건 구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배려의 소통적 자질 탐구
- KSL 학습자의 문법적 오류분석
- 낭만주의 관점에서 바라본동시 문학의 아동관 변화 양상
-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 터키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을/를’에 대한 사용 양상 분석 및 교수 학습 방안
- ‘애일당구경첩’의 문화교육적 존재 의의
- 영상서사의 비판적 읽기 방법 연구
- 어휘 제시 방법을 활용한 자기표현 능력 향상 연구
- 한국어 서술어의 사건 구조
- 한국어교육에서의 읽기 연구 동향 분석
- 고등학교 학습자의 문법 오개념 조사 연구
- ‘고전’ 과목이 시사하는 통합적 국어 활동의 지향
- 외국인 유학생의 효율적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 국적별 요구 및 만족도 분석 연구
- 의미운율을 적용한 유의어 교육 방안 연구
- 주장하는 글쓰기 교육 내용 개선 방안
- 미국 대학 KFL 학습자의 변인에 따른 한국어 학습 전략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