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스타트업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이용수 133
- 영문명
-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Start-up in Tourism Start-up
- 발행기관
- 융합관광콘텐츠학회
- 저자명
- 김명진 조한나
- 간행물 정보
-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8권 제3호, 37~5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창업분야에서 주로 논의된 창업가역량, 창업자기효능감, 창업의지를 변수로 관광분야에 접목해 관광 스타트업을 위한 학문적·실무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기업가적 역량, 관리적 역량, 기술 및 기능적 역량을 포괄한 창업가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며, 창업가역량과 창업의지 간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밝히고자 한다. 방법: 연구방법은 본 연구에서 실증연구에 필요한 표본은 관광창업 교육생 및 관광관련 학과 재학생들로 선정하였으며, 전남지역으로 제한하였다. 결과: 첫째, 창업가 역량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업가 역량, 관리자적 역량은 각각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기술 및 기능적 역량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기업가적 역량과 창업 의지 간의 관계에서 창업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기업가적 역량은 창업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매개변수인 창업 자기효능감은 종속변수인 창업 의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치는으로 타났다. 셋째, 관리적 역량과 창업 의지 간의 관계에서 창업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관리적 역량은 매개변수인 창업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매개변수인 창업 자기효능감은 종속변수인 창업 의지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관광 스타트업의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위한 혁신적인 성장전략 계획 수립과 창업가의 사고가 기업가적 역량의 중요한 이며 다양한 성장전략을 세워 창업 활동을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make academic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tourism startups by incorporating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willingness as variables mainly discussed in the start-up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managerial capabilities, technology, and functional capabilities on entrepreneurial will, and to clarify the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between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and start-up will. Methods: The samples required for empirical research in this study were selected as tourism start-up trainees and students enrolled in tourism-related departments, and were limited to Jeollanam-do. Results: First, entrepreneurial and managerial competencies were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on entrepreneurial willingness, but technical and functional competencies were not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y and entrepreneurial willingness, entrepreneurial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start-up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competency and start-up will, management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art-up self-efficacy,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Conclusion: Therefore, establishing an innovative growth strategy plan for tourism startups to successfully enter the market and thinking of entrepreneurs are important in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and start-up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by establishing various growth strateg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설계
4. 연구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8권 제3호 목차
- 호텔의 셀프서비스기술(SST)에 대한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 지속이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 관광스타트업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관광목적지에서 위기·위험 커뮤니케이션, 감정적 반응, 명성,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 워케이션을 통한 지방소멸 대응방안 연구
- 검도관광 활성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평생학습사회에서 청소년의 여가활동성향, 여가지원환경, 자율성이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국제의료관광 코디네이터의 직업전문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대학생 웰니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배달음식 선택속성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