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목은 이색(1328~1396)의 형세문화론적 화이관과 삼한사(三韓史) 인식

이용수 64

영문명
Mogeon Yi Saek(1328~1396)'s Understanding of the Hua-Yi Discourse and the History of Samhan(三韓史)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성환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제201집, 53~8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색(1328~1396)의 고려왕조사로서 삼한사 인식은 조선씨→기자→삼국→고려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그는 3대 부계로 구성된 단군신화를 알고 있었지만, 신이와 괴력난설의 중간 지점인 비괴(秘怪)로 이해했다. 이것은 그에게 고조선의 건국시조를 단군으로 지칭하지 못하고, 조선씨(朝鮮氏)로 얼버무리게 했다. 그 대략은 “당요 무진년에 조선씨가 건국하여 천여년을 지속한 후 기자가 계승했다“는 것이었다. 그것은 또 ”단목(檀木) 아래로 내려온 신인(神人) 단군을 국인(國人)이 추대하여 왕이 되었다“는 『응제시』 유형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의 이해라고 파악된다. 고려 말부터 성리학을 수용한 신흥유신들 사이에서 단군전승의 합리적인 인식을 위한 노력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는 고려 전·중기의 다원적 천하관이 원과의 관계 속에서 형세문화론적 화이관으로 변한 시대를 살았다. 두 명의 천자가 공존하여 천하관의 중첩을 경험하기도 했다. 그런 가운데 기자 인식은 소중화와 불신론(不臣論)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에게서는 동아시아 보편문화인 사대관계에서의 소중화론과 독자적인 영역과 문화를 지칭하는 불신론이 공존할 수 있었다. 그 중심에는 고조선(조선씨)을 문화적인 측면으로도 확대·이해하여 유교적 문명론을 지향하는 ‘삼한인수군자국’에 대한 관념이 자리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Examining Yi Saek'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one can see his outlook on the history of Samhan as one of progression from the Joseon-ssi(朝鮮氏) to the Goryeo nation itself. He knew of the Tangun mythology involving three generations of male lineage, but understood this as the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divinely mystical and chaos. This reflects Yi Saek's efforts to creat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transmission of the Tangun legend among a group of literati who expropriated Neo-Confucianism toward the end of the Goryeo period.Concerning Gija, this can be summed up by the Goryeo conception of itself as “Little China” and it's “Anti-Vassal Ideology”. This was the result of Goryeo's consciousness of its separate existence originating with Ancient Joseon, and manifested as one of several logical arguments designed to maintain Goryeo's independence. This concept resulted in an expanded consciousness of Ancient Joseon from a cultural perspective; at its core lay the theory of “the benevolent nation of Samhan”. Yi Saek understood the Joseon-ssi not merely through a historical context, but also a cultural one. In his opinion, because Joseon represented a “nation of benevolence”, its anti-vassal ideology designating an independent territory and culture could co-exist with the theory of “Little China” as represented by Gija's worship of and loyalty to power, both ideologies involving a universal East Asian culture.

목차

1. 머리말
2. 다원적 천하관의 기억과 화이관의 변화
3. 삼한사(三韓史)의 출발, 고조선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환. (2022).목은 이색(1328~1396)의 형세문화론적 화이관과 삼한사(三韓史) 인식. 동방학지, (), 53-80

MLA

김성환. "목은 이색(1328~1396)의 형세문화론적 화이관과 삼한사(三韓史) 인식." 동방학지, (2022): 53-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