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국의 장애판정제도와 정책적 시사점

이용수 141

영문명
Policy for Disability Assessment: Lessons from the Experiences of the UK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최복천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7권 제3호, 145~16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국의 장애판정제도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하여 국내 장애판정체계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특히, 장애판정이 사회복지급여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누가 적격한 자격을 가지고 있느냐를 결정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장애인복지정책의 핵심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소득보장, 고용지원, 사회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영국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장애판정제도가 가지고 있는 한계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정된 장애 범주와 의료적 진단에서 벗어나 실제 생활의 어려움과 지원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장애의 인정 범위가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정책 및 서비스의 목적에 부합하는 장애평가 기준과 방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운영되고 있는 소득보장 관련 장애급여들을 의학적 손상 중심이 아닌 근로능력 중심으로, 고용지원 및 사회서비스 관련 급여들은 기능적 제약에 바탕을 둔 필요욕구 중심으로 개편되어야 한다. 넷째, 장애판정은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다양한 전문인력, 정보 다양성, 정성평가 도입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UK’s disability assessment system in depth and derive it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Disability assessment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o has the qualification to receive social welfare benefits and services. Thu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income security, employment and social service policies, which are the core areas of welfare policies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UK, the problems of Korea's disability assessment system were discussed and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presented. First, we need to move away from the limited categories of disability and expand the range of beneficiary criteria of the disabled based on their difficulties and need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sability evaluation standards and methods that a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policies and services. Third, eligibility criteria of disability pension should be focused on work capacity of the disabled rather than medical impairment condition. Eligibility criteria of social care services also should be evaluated by needs and functional limitation of disabled people in real life. Fourth, disability assessment requir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various professional manpower, information, and qualitative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영국의 장애판정제도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복천. (2022).영국의 장애판정제도와 정책적 시사점. 사회과학리뷰, 7 (3), 145-169

MLA

최복천. "영국의 장애판정제도와 정책적 시사점." 사회과학리뷰, 7.3(2022): 145-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