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진성리더십, 사회적 지지, 교직헌신, 교사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125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Social Support, Teaching Commitment,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희(Young-Hee Kim) 문은식(Ehun-Shik Moon)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21권 제4호, 91~11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진성리더십, 사회적 지지, 교직헌신, 교사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행복감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와 충청남도의 유아교사 392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원장의 진성리더십, 사회적 지지, 교직헌신, 교사효능감, 행복감 척도이다. 자료분석 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 및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를 알아보면, 첫째, 원장의 진성리더십, 사회적 지지, 교직헌신, 교사효능감은 5개의 경로를 통해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관련변인들의 행복감에 대한 설명력은 75%로 나타났다. 원장의 진성리더십은 ‘교직헌신’, ‘교사효능감 → 교직헌신’을 통해 간접 영향을 미치고,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교사효능감 → 교직헌신’을 통해 행복감에 간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인에서 교사효능감은 교직헌신을 통해 행복감에 간접 영향을 주는 반면, 교직헌신은 행복감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에서, 교직헌신이 가장 높은 직접적인 영향(β=.87)을 주었으며, 다음으로 원장의 진성리더십(β=.55), 교사효능감(β=.37), 동료의 사회적 지지(β=.11) 순으로 모두 간접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이해하고 촉진하기 위한 개입 전략의 이론적·경험적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social support, teaching commitment, teacher efficacy, and happines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on their happiness. The study subjects were 39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angwon-do and Chungcheongnam-do province. For data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LISREL 8.54 and Mplus 6.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 social support, teaching commitment, teacher efficacy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through five paths. The explanatory power of related variables on their happiness was 75%. For mediating variables, teaching commitment had a direct effect on happiness, whereas teacher efficacy had an indirect effect on happiness via teaching commitment. Second, for the relative influential power of the predictors, teaching commitment had a highest direct influence(β=.87) on happiness, followed by director’s authentic leadership(β=.55), teacher efficacy(β=.23) and social support(β=.11).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framework to diagnose and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