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의 근대화와 여성노동자 ‘보호’
이용수 64
- 영문명
- Japan’s Modernization and ‘Protection’ of Female Workers: Based on the records of Tanino Setsu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저자명
- 김경옥(Kim, Kyung-Ok)
- 간행물 정보
- 『일본역사연구』제59집, 357~38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다니노 세쓰(谷野せつ, 1903∼1999)라는 일본 최초의 여성공장감독관보의 기록을 통해 전전 일본의 근대화를 위해 산업전사로서 활약한 여성노동자에 대한 보호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에서는 일본의 근대화와 여성노동자와 관련해 많은 연구가 진전되었다. 다만 자본가와 노동자라는 이항 대립적 관계 속에서 열악한 노동환경 속의 여성노동자에 주목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여성노동자에 대한 ‘보호’는 전전과 전후를 막론하고 ‘모성 보호’라는 의미와 깊은 관계가 있고 ‘모성 보호’는 여성노동 정책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총력전 체제기 일본의 여성노동 정책은 인구 정책과의 양립 속에서 여성의 신체를 중심으로 한 모성 보호에 중점을 둔 보호와 규제를 교차하며 여성의 동원을 강제했다.
다니노는 노동행정관으로 근로보국을 강조하지만, 한편으로는 근로보국에 앞서 여성노동자에게 무엇이 선결되어야 하는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제기하고 개선점을 제언한다. 다니노는 총력전 체제기의 행정 관료로서의 입장이라는 한계를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러나 그녀의 논문과 보고서 등의 기록은 동시대를 산 여성의 눈으로 바라본 여성노동자 보호의 의미와 그 한계를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protection for female workers who were active as industrial warriors for the modernization of Japan through the records of Japan's first assistant female factory supervisor, Tanino Setsu. In Japan, many studies on Japanese modernization and female workers have progressed. However, in the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between capitalists and workers, studies focused on female workers in poor working conditions.
The protection of female workers is deeply related to the meaning of “maternity protection” both before and after the war, and the “maternity protection” is inextricably related to women's labor policy. During the total war period, Japan's women's labor policy forced the mobilization of women, focusing on the maternity protection centered on women's bodies, in harmony with the population policy. Tanino emphasized labor patriotism as a labor administrator, but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what should be prioritized for female workers before labor patriotism, she raised problems and suggested improvements.
Tanino maintained her position as a labor administrator during the total war system. However, her papers and reports show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protecting female workers in wartime Japan.
목차
Ⅰ. 들어가기
Ⅱ. ILO와 여성공장감독관보 다니노 세쓰의 등장
Ⅲ. 전전 여성노동자의 실태와 다니노 세쓰의 시선
Ⅳ. 총력전 체제기 여성노동자 동원과 다니노 세쓰의 여성노동자 보호
Ⅴ. 나가기: 전전과 전시 일본의 여성노동자 보호의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왜구와 잇키(一揆)로 중세 일본을 이해하다
- 일본의 사법 근대화와 청국의 영사재판권 행사 문제
- 간도침공에 대한 일본의 언론 보도와 인식
- 신문 기사를 통해 본 식민지기 조선인 산파의 노동 환경과 사회적 위치
- 한일 역사교과서는 입당승·입송승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가
- 일본인의 피는 다른가?
- 일본의 근대화와 여성노동자 ‘보호’
- 근세 후기 공가의 대부 금융과 다이묘 영주
- 재일(在日) 지식인이 구축한 연대의 공론장 『계간삼천리』
- 일본역사연구 제59집 목차
- 對馬宗家의 ‘10만 석 이상’ 家格과 朝鮮製 銅燈籠
- 노사관계제도 분석을 통한 일본사회 상세 조감도
- 탈식민적 식민지 연구의 원점
- 내셔널리즘 비판의 맥락에서 본 한일 지식인의 교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