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일 역사교과서는 입당승·입송승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가
이용수 52
- 영문명
- How do Korean and Japanese History Textbooks Describe Buddhist Monks Traveled to Tang and Song China?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저자명
- 정순일(Chong, Soon-Il)
- 간행물 정보
- 『일본역사연구』제59집, 135~17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역사교과서가 다년간 학계에서 축적된 연구성과를 담고 있는 동시에, 최근의 연구 경향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텍스트라는 점을 고려하여, 한일 양국의 고등학교 역사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고대 일본의 입당승·입송승이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한국의 경우 일본사 관련 서술을 담고 있는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세계사』를, 일본의 경우 전근대사를 포괄하고 있는 『일본사B』 교과서를 위주로 고찰한다. 나아가, 입당승·입송승 관련 서술을 ‘견당사 정지’ 및 ‘국풍문화 발달’이라는 문맥과 연관지어 분석해보려고 한다. 이로써 도해승 서술이 일본 학계가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해온 통념적 역사 이해 속에서 어떻게 자리매김되어 왔는지, 또 도식화된 설명 방식이 입당승·입송승 서술의 분량, 내용, 형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we analyze how Japanese Buddhist monks are described in history textbooks in both Korea and Japan. At this time, I consider that history textbooks are texts that intensively show recent research trends while containing research achievements accumulated in the academic world for many years. Among Korean history textbooks, 『East Asian History』 and 『World History』, which contain descriptions of Japanese history, are analyzed. Among Japanese textbooks, 『Japanese History B』 textbook, which covers pre-modern history, is mainly considered. Furthermore, this thesis attempts to analyze the description of monks who entered the Tang and Song dynasties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Kento-shi (Japanese envoy to Tang China)' and 'Kokufu Bunka (Japan's original national culture)'. Through this, I expect to be able to confirm how the narratives related to traveling monks have been positioned within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history maintained by Japanese academia for a long time. And I think it will be possible to confirm how the schematized explanation method influenced the amount, content, and form of the description about monks.
목차
Ⅰ. 머리말
Ⅱ. 입당승·입송승의 개괄적 이해
Ⅲ. 『동아시아사』, 『세계사』 교과서 서술상의 특징
Ⅳ. 『일본사B』 교과서의 서술 분석
Ⅴ. ‘견당사 정지-국풍문화 발달’이라는 도식과의 관계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왜구와 잇키(一揆)로 중세 일본을 이해하다
- 일본의 사법 근대화와 청국의 영사재판권 행사 문제
- 간도침공에 대한 일본의 언론 보도와 인식
- 신문 기사를 통해 본 식민지기 조선인 산파의 노동 환경과 사회적 위치
- 한일 역사교과서는 입당승·입송승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가
- 일본인의 피는 다른가?
- 일본의 근대화와 여성노동자 ‘보호’
- 근세 후기 공가의 대부 금융과 다이묘 영주
- 재일(在日) 지식인이 구축한 연대의 공론장 『계간삼천리』
- 일본역사연구 제59집 목차
- 對馬宗家의 ‘10만 석 이상’ 家格과 朝鮮製 銅燈籠
- 노사관계제도 분석을 통한 일본사회 상세 조감도
- 탈식민적 식민지 연구의 원점
- 내셔널리즘 비판의 맥락에서 본 한일 지식인의 교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