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일(在日) 지식인이 구축한 연대의 공론장 『계간삼천리』

이용수 65

영문명
“Kikan Sanzenri”, the Public Sphere for Solidarity, Built by Zainichi Korean Intellectuals
발행기관
일본사학회
저자명
조수일(Cho, Su-Il)
간행물 정보
『일본역사연구』제59집, 5~49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재일 지식인들이 이향의 시공간에서 조국의 평화통일과 한국의 민주화/인권 회복, 한일 간 상호이해와 연대 도모라는 뚜렷한 문제의식을 피력하며 만들어낸 『계간삼천리』(전50호, 1975.2-1987.5)의 도정을 검토함으로써, 이 일본어 공론장의 전체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계간삼천리』에 번역·소개된 한국 지식인의 글은 선행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았는데, 여기에 주목하여 그것이 이 잡지에서 어떠한 위상을 갖는지 검토했다. 우선 잡지의 방향성이 잘 드러나는 특집, 대담/정담/좌담회, 연재, 번역이라는 범주를 통해 『계간삼천리』의 문제의식과 역할을 분석했다.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에 촉발된 재일 지식인들이 주체적으로 시작한 『계간삼천리』라는 공론장 만들기는 동시대 한국의 현대사적 과제, 한반도와 일본 열도의 현안에 대해 특집을 기획하여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하여 역사적 합의를 위한 ‘한일교류사’를 쓰고자 했고, 재일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들여다보기 위한 특집을 통해 ‘다양 속의 통일’=폴리포니의 장으로 기능했다는 점을 밝혔다. 또, 『계간삼천리』는 대담/정담/좌담회를 통해 독자들과 잡지의 문제의식을 공유한 점도 특기할 만하며, 폭넓은 분야와 장르의 글을 연재함으로써 공론장의 사회문화적 역할을 다했다. 특히 K·I와 마에다 야스히로의 ‘서울 리포트’에 주목하여 그 ‘또 하나의 연재’가 내포하는 의의를 살펴보았다. 한국 민중의 생명과 목소리를 자기 것으로 삼으며 한일 간 정치에 감춰진 진실을 드러내고자 한 K·I와 마에다의 글쓰기는 정치적 상상력과 창조력의 중요성을 피력한 김지하를 비롯한 탄압 받는 한국의 지식인과 노동자, 재일 유학생 등과 연대하며 시대의 총체상을 담았다는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계간삼천리』가 번역·소개한 한국 지식인의 글에 주목했다. 분단된 한반도와 인권이 유린당하고 언론의 자유가 박탈되는 한국의 정황에 대해 위기 상황을 진단하며 글쓰기를 한 지식인의 실천을 소개한 『계간삼천리』는 이를 통해 잡지의 목적의식을 더욱 견고히 하고자 했고, 한국의 시공간을 초월하여 전달되는 그들의 목소리에 담긴 시대 정신은 동시대 재일/일본인에게 자기가 놓여 있는 현실과 역사를 대하는 태도에 자성을 촉구하는 사유로 기능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천을 동반하며 다층의 목소리를 모은 『계간삼천리』의 운동은 반일과 혐한이라는 단절의 길을 걷고 있는 현재에 있어 한일교류의 역사를 발굴하고 그것의 현재적 의미를 들여다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 있어 사료로서 주목할 가치가 크며, 더 논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By reviewing the pathway of “Kikan Sanzenri” (Issues 1 to 50: Feb. 1975 to May 1987), an academic journal published by Zainichi Korean intellectuals and in which they expressed their clear critical mind toward the issues of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ir home country Korea, restoration of democratization/human rights in Korea, and promotion of mutual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time and space of their foreign land, this paper examined the overall picture of this public sphere written in Japanese. In particular, while the Korean intellectuals’ articles translated and introduced in “Kikan Sanzenri” were not covered in previous researches,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m and examined what kind of stature they have in the journal. First, through division into “Special Features”, “Conversation/Round-table Talks/Symposiums”, “Serial Publication” and “Translation”, which clearly indicate the journal’s direction, the critical mind and roles of “Kikan Sanzenri” were analyzed. The public sphere “Kikan Sanzenri” is a journal which Zainichi Korean intellectuals who were inspired by the July 4 Inter-Korean Joint Statement in 1972 initiatively started publishing. Through “Kikan Sanzenri”, they aimed to write a “History of Korea-Japan Exchange” for historical agreement, through collection of various ideas and opinions by planning special features on the contemporary historical tasks of Korea and on pending issues about the Korean Peninsula and about the Japanese Islands. Also, through special features examin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Zainichi Koreans, “Kikan Sanzenri” functioned as a venue for “unity in diversity” which is a synonym for polyphony.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Kikan Sanzenri” shared its critical mind with readers through conversation, round-table talks, and symposiums. Through serial publication of articles in a wide range of fields and genres, the journal fulfilled its social and cultural roles as the public sphere. In particular, by focusing on “Seoul Report” written by K·I. and Yasuhiro Maeda, this paper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is “another series.” The articles by K·I. and Yasuhiro Maeda, which sought to reveal the truth hidden in the politics between Korea and Japan by taking the lives and voices of the Korean people as their own,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onvey the overall picture of the times in solidarity with oppressed Korean intellectuals including Chi-ha Kim who expressed the importance of political imagination and creativity, as well as workers, and Zainichi Korean students. Finally, this paper focused on the articles by Korean intellectuals translated and introduced on “Kikan Sanzenri.” “Kikan Sanzenri” introduced the practice of intellectuals who wrote articles by diagnosing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and diagnosing the crisis situation in Korea, where human rights were being violated and freedom of speech was deprived of. This paper identified that “Kikan Sanzenri” tried to further strengthen its sense of purpose through this, and that the spirit of the times contained in the intellectuals’ voices transcending time and space from Korea functioned as a reason to urge contemporary Zainichi/Japanese people to self-reflect their attitudes toward the reality and history in which they are placed. The movement of “Kikan Sanzenri”, which gathered the voices of all social classes while accompanying practice, is worth noting as a historical record and deserves further discussion in that, in this era of ongoing hostility typified by anti-Japanese and anti-Korean sentiments,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 history of Korea-Japan exchange and to look into its significance in the present tim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1970년대 일본과 『계간삼천리』의 목적의식
Ⅲ. 특집 : ‘한일교류(사)’를 위한 폴리포니
Ⅳ. 대담/정담/좌담회 : 격동이 낳은 시대의 증언
Ⅴ. 연재 : ‘또 하나의 연재’에 담긴 유·무명의 증언 – K·I와 마에다 야스히로
Ⅵ. 번역 : 자성을 촉구하는 한국 지식인의 사유와 시대정신
Ⅶ.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수일(Cho, Su-Il). (2022).재일(在日) 지식인이 구축한 연대의 공론장 『계간삼천리』. 일본역사연구, (), 5-49

MLA

조수일(Cho, Su-Il). "재일(在日) 지식인이 구축한 연대의 공론장 『계간삼천리』." 일본역사연구, (2022): 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