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식민적 식민지 연구의 원점
이용수 114
- 영문명
- Decolonization of Colonial Studies : Korea-Japan Joint Research on Korean Modern Economic History in the Late 1980s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저자명
- 홍종욱(Hong, Jong-Wook)
- 간행물 정보
- 『일본역사연구』제59집, 51~9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80년대 한국은 경제 성장과 민주화를 이뤘다. 한국 사회의 변화는 세계적인 탈냉전과 함께 찾아왔다. 일본의 비판적 지식인들은 한국 사회의 변화를 해석하기 위해 노력했다.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 나카무라 사토루는 한국의 발전에 주목해 중진 자본주의론에 바탕한 새로운 세계사 상을 제시했다.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한국 근대사 연구를 이끌던 가지무라 히데키는 한국을 종속 발전하는 주변부 자본주의로 설명했다. 한국의 비판적 경제학자 안병직은 1980년대 중반까지 한국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인정하지 않는 식민지 반봉건사회론을 고수했다. 1985년 안병직의 일본 유학을 계기로 한국 경제 발전의 역사적 조건을 탐구하려는 한일 공동연구가 기획되었다. 양국의 비판적 지식인은 처음으로 머리를 맞대고 식민지 경험을 역사화하기 위해 논의를 거듭했다. 탈식민은 식민지 경험을 직시하고 역사화함으로써 가능하다. 안병직은 공동연구 과정에서 나카무라의 중진 자본주의론을 수용했다. 다만 이 공동연구를 식민지 근대화론의 발원지로 단순화할 수는 없다. 한국 근대경제사 한일 공동연구는 식민지에 대한 다양한 실증적, 이론적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1990년대 이후 본격화하는 식민지 연구의 원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e 1980s, Korea achieved economic growth and democratization. Changes in Korean society came along with the global post-Cold War era. Japanese critical intellectuals tried to interpret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Satoru Nakamura, a Marxist historian, paid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 and presented a new world history statue based on semi-developed capitalism theory. Hideki Kajimura, who led the study of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based on the theory of immanent development, explained Korea as peripheral capitalism that develops dependently. Until the mid-1980s, South Korean critical economist Ahn Byeong-jik adhered to the theory of colonial semi-feudal society that denied Korea’s capitalist development. In 1985, with Ahn Byeong-jik’s study in Japan, a Korea-Japan joint research was planned to explore the historical conditions of Korean economic development. Critical intellectuals from both countries put their heads together for the first time and discussed repeatedly to historicize the colonial experience. Decolonization is possible by facing and historicizing the colonial experience. Ahn Byeong-jik accepted Nakamura’s semi-developed capitalism theory in the course of his joint research. However, this joint research cannot be simplified as the origin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The Korea-Japan joint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economy can be position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colonial research that began in earnest after the 1990s in that it attempted various empirical and theoretical analyses.
목차
Ⅰ. 한국의 경제 성장과 탈식민적 한일 관계 모색
Ⅱ. ‘NICs 충격’과 일본 지식인의 한국 자본주의 인식
Ⅲ. 한일 교류와 식민지 반봉건사회론의 동요
Ⅳ. 탈냉전 민주화와 식민지 근대화론 대두
Ⅴ. 새로운 식민지 역사상의 모색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왜구와 잇키(一揆)로 중세 일본을 이해하다
- 일본의 사법 근대화와 청국의 영사재판권 행사 문제
- 간도침공에 대한 일본의 언론 보도와 인식
- 신문 기사를 통해 본 식민지기 조선인 산파의 노동 환경과 사회적 위치
- 한일 역사교과서는 입당승·입송승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가
- 일본인의 피는 다른가?
- 일본의 근대화와 여성노동자 ‘보호’
- 근세 후기 공가의 대부 금융과 다이묘 영주
- 재일(在日) 지식인이 구축한 연대의 공론장 『계간삼천리』
- 일본역사연구 제59집 목차
- 對馬宗家의 ‘10만 석 이상’ 家格과 朝鮮製 銅燈籠
- 노사관계제도 분석을 통한 일본사회 상세 조감도
- 탈식민적 식민지 연구의 원점
- 내셔널리즘 비판의 맥락에서 본 한일 지식인의 교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