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셔널리즘 비판의 맥락에서 본 한일 지식인의 교류
이용수 63
- 영문명
- Interac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ntellectuals in the Context of Criticism of Nationalism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저자명
- 심정명(Sim, Jeong-Myoung)
- 간행물 정보
- 『일본역사연구』제59집, 91~134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90년대 후반∼2000년대에 걸친 한일 지식인의 교류를 내셔널리즘 비판/탈민족주의라는 맥락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2000년을 전후하여 한국에서 활발하게 전개된 내셔널리즘 비판은 세계화나 포스트모더니즘 이론 등을 배경으로 하지만, 1997년에 일어난 일본의 『새로운 역사 교과서』의 검정 통과와 관련하여 역사수정주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 것도 그 계기 중 하나였다. 한국의 역사학자들이 일본의 내셔널리즘적 역사를 비판하는 것과 한국의 자국사, 국사교과서를 비판하는 작업이 겹쳐 있음을 주장하는 가운데, 한국의 민족주의에 대한 활발한 자기비판이 촉발된다. 여기에는 『민족주의는 반역이다』를 써서 일찌감치 민족주의를 비판하고 나선 임지현의 영향도 존재하는데, 그는 이후 잡지 『당대비평』을 통하여 일본의 내셔널리즘 비판 논의를 적극적으로 소개하는 한편, <비판과 연대를 위한 동아시아 역사포럼> 활동을 통해 내셔널리즘을 비판하기 위한 한일 지식인의 인적 연대와 학문적 교류를 본격적으로 시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듯 지면과 학술교류를 통해 이루어진 한일의 내셔널리즘 비판의 양상을 분석하고, 내셔널리즘을 비판하면서 이루어진 당시 지식인들의 교류가 어떻게 그들 자신의 내셔널한 규정성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는지를 살펴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exchange of intellectuals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the late 1990s to the 2000s, focusing on the criticism of nationalism or post-nationalism. Criticism of nationalism, which was actively raised in Korea around 2000, was based on globalization or postmodernism theory. And this criticism became more active when Japan's 『New History Textbook』 passed the official approval in 1997. Active self-criticism of Korean nationalism is triggered as Korean historians argue that criticizing Japan's nationalist history and criticizing Korea's national history and textbooks are overlapping. This is also influenced by Jie-Hyun Lim, who wrote 『Nationalism is treason』 and criticized nationalism early on. Later, through the magazine 『Dangdaebipyeong』, he actively introduced criticism of nationalism in Japan, and by launching the he began full-fledged academic exchange between Japanese and Korean intellectuals to criticize nationalism. This paper analyzes the discussions on the critique of nationalism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he pages of the journal and academic exchanges, and examines how the exchanges of intellectuals at the time, criticizing nationalism, formed a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ir own national identity.
목차
Ⅰ. 머리말
Ⅱ. 일본 내셔널리즘 비판에서부터
Ⅲ. 『당대비평』과 한일 지식인의 대화
Ⅳ. <동아시아 역사포럼>의 주변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왜구와 잇키(一揆)로 중세 일본을 이해하다
- 일본의 사법 근대화와 청국의 영사재판권 행사 문제
- 간도침공에 대한 일본의 언론 보도와 인식
- 신문 기사를 통해 본 식민지기 조선인 산파의 노동 환경과 사회적 위치
- 한일 역사교과서는 입당승·입송승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가
- 일본인의 피는 다른가?
- 일본의 근대화와 여성노동자 ‘보호’
- 근세 후기 공가의 대부 금융과 다이묘 영주
- 재일(在日) 지식인이 구축한 연대의 공론장 『계간삼천리』
- 일본역사연구 제59집 목차
- 對馬宗家의 ‘10만 석 이상’ 家格과 朝鮮製 銅燈籠
- 노사관계제도 분석을 통한 일본사회 상세 조감도
- 탈식민적 식민지 연구의 원점
- 내셔널리즘 비판의 맥락에서 본 한일 지식인의 교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