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한 Sentinel-1 영상의 중소규모 하천 수체 추출
이용수 20
- 영문명
- Small- to Medium-Sized Stream Waterbody Extraction Using Sentinel-1 Images Based on Shortest Plane Distanc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수현 김동균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6호, 363~37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하여 Sentinel-1으로 중소규모 하천의 수체 추출 방법을 검증하였다. 연구지역으로 한강유역의 한탄강과 중랑천 일부를 선정하였다. Sentinel-1의 수체 추출 방법 검증을 위해 고해상도 광학위성인 PlanetScope를 함께 활용하였다. 수집한 SAR 위성영상자료(Sentinel-1)는 전처리과정 후, 히스토그램 매칭기법을 통해 영상의 밝기 분포를 동일시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인 하천추출을 위하여 하천중심선에서의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한 가중치를 추가하였다. 이 가중치 값과 Sentinel-1의 VH, VV 편광과의 조합을 통해 k-mean 방법으로 최적의 매개변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해상도의 한계에 따라 Sentinel-1에서 최대 정확도의 수체를 추출할 수 있는 값이며, 이 수준에 해당하는 수체 추출을 VV, VH, 평면최단거리의 상관관계에 근거하여 타원방정식으로 계산식을 도출할 수 있다. 그 결과 평균 정확도가 0.45~0.75 사이에서 도출되었고, 평균 Kappa 계수가 0.60~0.85에 근접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평면최단거리 값을 활용하여 참값이 없더라도 수체면적의 추정을 보여준다. 또한, 현존하는 수체 추출 방법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체를 추출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method for extracting the waterbody of small- to medium-sized streams is verified using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based on the shortest plane distance (DST). The areas investigated are the Hantangang River and Jungnangcheon stream. To verify the waterbody extraction method, SAR satellite image data (Sentinel-1) and PlanetScope, which is a high-resolution optical satellite, are used simultaneously. After preprocessing the Sentinel-1 images, their brightness distribution is equalized via histogram matching. To realize an efficient stream extraction, a weight, which is the DST from the stream centerline, is added. After combining this weight value and Sentinel-1's VH and VV polarizations, the optimal parameter value is obtained using the k-means method. This value allows the waterbody to be extracted from Sentinel-1 images with maximum accuracy, depending on the resolution limit. Based on the correlation among the VV, VH, and DST, the waterbody extraction can be calculated using an elliptic equation.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accuracy is 0.45-0.75, and the average Kappa coefficient is 0.60-0.85. This study shows that the waterbody area can be estimated using the DST. Additionally,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the waterbody more simply and rapidly than the existing waterbody extraction method.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고찰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권6호 목차
- 학교시설 관리 효율화를 위한 수선기준 적용 분석
- 지하 방호시설의 폭압 저감 및 시간 지연을 위한 Expansion Chamber와 Side Chamber 적용
- 격자단위 기반의 우수관망 해석 모형의 개발
- 국가가뭄정보통계집 정보를 활용한 전국 지자체 별 가뭄 피해도 군집분석
- 국가핵심기반 재난관리자원 비축체계 개선 연구
- 포항형 지진파에 의한 지반증폭 특성에 따른 세종시 부지구역화에 관한 연구
- 지능형 하수처리시설 구축을 위한 하수처리 자가 진단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
- 스마트시티 도시홍수 상황인지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산후조리원의 신생아실 배치변화에 따른 피난시간 분석
- 물수지 분석에 기반한 빗물이용시설의 정량적 효과 분석
- 구형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침강속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강우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면적 강수량 추정 내삽 기법의 오차 발생 특성 연구
-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폭염 영향 요인이 온열질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소규모저수지의 예·경보를 위한 계측기 설치에 관한 연구
- 다세대주택 화재 시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갈수기 하천수 관리를 위한 물 스트레스 지표의 응용 및 수자원 개발지표의 평가
- 화학물질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범위 예측 비교를 통한 안전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를 설계홍수량 산정에 반영하는 방법의 개선
- 강우량 및 지형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한국형 토사재해 유발 강우량 산정 알고리즘 개발
- 농경지 비점오염원 관리를 통한 탄소중립 효과 및 하천의 수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비회와 저회의 함유량에 따른 모래의 내부마찰각 변화
- 태백산맥 풍하측 대기 물뜀 발생에 관한 수치 실험
- 감염병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 공극 네트워크 모델을 활용한 공극의 크기 분포 및 주입압력에 따른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성 분석
- 방화댐퍼의 이격 설치에 따른 화재안전성에 관한 연구
- 지역 침수피해 특성에 따른 재해 회복력 지수 분석
- 통합배수관 기법을 적용한 도시침수 예측모형 개발
- 저온 개선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 평가
- X-ray CT를 이용한 글라스울 단열재의 미세구조 특성 분석
- 산악철도시스템의 위험요인 식별에 관한 연구
- 웨이블릿 분석에 근거한 비정상 시계열 확장 방법
- 물 순환 개별 요소의 결합을 통한 통합 도시 물 순환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하천급변화구간에 대한 UAV기반 조기경보설정
- 산림 내 연료 특성 분석을 통한 산불 위험도 예측
- 장대레일 부설을 위한 궤도선형 설계기준의 콘크리트 궤도 적용성 평가
- 탄성받침 수평변형에 따른 수직강성 감소 및 슬래브교의 충격계수 변화 분석
- 링 전단 시험장치를 활용한 세립분 함량에 따른 첨두 및 잔류 전단 강도 특성 분석
- 세립분 함량에 따른 화강 풍화토의 흙-함수특성곡선 특성
- 재해위험도평가표 기반 정비사업 우선순위선정
- 프리파일링 자켓 하부구조물의 그라우트 연결부에서 전단키 배열이 축하중 용량에 미치는 영향
- 저영향개발 디지털트윈 분석 모듈 개발 및 적용
-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한 Sentinel-1 영상의 중소규모 하천 수체 추출
- 무도상 교량 미끄럼 허용 궤광 시스템의 횡방향 보강판 현장 실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