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시티 도시홍수 상황인지 시스템 개발 및 적용
이용수 156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rban Flood Prediction System for Smart Citi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수현 박종표 원창연 이정민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2권6호, 69~7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시 수 재해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와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시홍수 상황인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 시스템은 강우 실황 및 예측 자료, 1차원·2차원 침수 예측 정보, 지점별 홍수예경보 정보, 행정동별 침수취약지수 정보 등을 제공한다. 도시 홍수예경보를 위한 1차원 홍수분석은 도시유출모형인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구동하여 맨홀별 수심, 월류량 정보를 생산하였다. 2차원 침수해석은 2DIS (2 Dimensional Inundation System) 모형을 적용하여 SWMM의 맨홀별 월류량과 연계한 2차원 지표면 침수해석 정보를 생산하였다. 시스템에서 침수 예측은 강우 시나리오 기반으로 제공하며 적용 강우는 시간당 30 - 90 mm, 강우 시간 분포는 Huff 3분위이다. 홍수 상황 전파를 위한 홍수예경보 정보는 관로의 수심 및 월류 조건에 따라 안전, 관심, 주의, 경계, 심각의 5단계 상황을 시간대 별로 제공할 수 있다. 연구에서 개발한 침수 예측 모형은 달서 배수분구의 2002년 기왕 침수실적 자료와 비교 검증하였으며 모형 검증 결과 침수 탐지확률(Probability of Detection, POD)은 80%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o preemptively respond to urban flood disasters, a flood prediction system that provides a connection service with a smart city data hub was developed. The system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 real-time and predicted rainfall data, 1D and 2D flood prediction data, manhole-based flood prediction and warning information, and flood vulnerability index by administrative district. A one-dimensional analysis for the water depth and overflow amount of each manhole was calculated using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A two-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the Two-Dimensional Inundation System (2DIS), which is capable of two-dimensional surface inundation analysis, was applied. The model can simulate surface flooding using the manhole overflow rate of the SWMM model. In the system, the flood prediction information was made based on the rainfall scenario, and the applied rainfall is 30-90 mm per hour, while the rainfall time distribution is Huff 3rd quartile. The propagation of flood conditions in the system can provide a five-stage (Safety, Attention, Caution, Alert, and Serious) scale depending on the water depth and surcharge conditions of the pipeline. The flood predic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mpared and verified with the existing flood survey data in the Dalseo Drainage Basin in 2002, and the model verification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flood detection (POD) was more than 80%.
목차
1. 서론
2. 시스템의 구성 요소 및 침수 해석 기법
3. 도시홍수 상황인지 시스템의 실증 대상지역 적용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22권6호 목차
- 학교시설 관리 효율화를 위한 수선기준 적용 분석
- 지하 방호시설의 폭압 저감 및 시간 지연을 위한 Expansion Chamber와 Side Chamber 적용
- 격자단위 기반의 우수관망 해석 모형의 개발
- 국가가뭄정보통계집 정보를 활용한 전국 지자체 별 가뭄 피해도 군집분석
- 국가핵심기반 재난관리자원 비축체계 개선 연구
- 포항형 지진파에 의한 지반증폭 특성에 따른 세종시 부지구역화에 관한 연구
- 지능형 하수처리시설 구축을 위한 하수처리 자가 진단 웹 애플리케이션 연구
- 스마트시티 도시홍수 상황인지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산후조리원의 신생아실 배치변화에 따른 피난시간 분석
- 물수지 분석에 기반한 빗물이용시설의 정량적 효과 분석
- 구형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침강속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강우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면적 강수량 추정 내삽 기법의 오차 발생 특성 연구
-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폭염 영향 요인이 온열질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소규모저수지의 예·경보를 위한 계측기 설치에 관한 연구
- 다세대주택 화재 시 피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갈수기 하천수 관리를 위한 물 스트레스 지표의 응용 및 수자원 개발지표의 평가
- 화학물질 누출사고로 인한 피해범위 예측 비교를 통한 안전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기후변화를 설계홍수량 산정에 반영하는 방법의 개선
- 강우량 및 지형정보 데이터를 이용한 한국형 토사재해 유발 강우량 산정 알고리즘 개발
- 농경지 비점오염원 관리를 통한 탄소중립 효과 및 하천의 수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비회와 저회의 함유량에 따른 모래의 내부마찰각 변화
- 태백산맥 풍하측 대기 물뜀 발생에 관한 수치 실험
- 감염병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 공극 네트워크 모델을 활용한 공극의 크기 분포 및 주입압력에 따른 바이오폴리머 수용액의 주입성 분석
- 방화댐퍼의 이격 설치에 따른 화재안전성에 관한 연구
- 지역 침수피해 특성에 따른 재해 회복력 지수 분석
- 통합배수관 기법을 적용한 도시침수 예측모형 개발
- 저온 개선 고점도 개질 아스팔트를 이용한 교면 포장용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성능 평가
- X-ray CT를 이용한 글라스울 단열재의 미세구조 특성 분석
- 산악철도시스템의 위험요인 식별에 관한 연구
- 웨이블릿 분석에 근거한 비정상 시계열 확장 방법
- 물 순환 개별 요소의 결합을 통한 통합 도시 물 순환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하천급변화구간에 대한 UAV기반 조기경보설정
- 산림 내 연료 특성 분석을 통한 산불 위험도 예측
- 장대레일 부설을 위한 궤도선형 설계기준의 콘크리트 궤도 적용성 평가
- 탄성받침 수평변형에 따른 수직강성 감소 및 슬래브교의 충격계수 변화 분석
- 링 전단 시험장치를 활용한 세립분 함량에 따른 첨두 및 잔류 전단 강도 특성 분석
- 세립분 함량에 따른 화강 풍화토의 흙-함수특성곡선 특성
- 재해위험도평가표 기반 정비사업 우선순위선정
- 프리파일링 자켓 하부구조물의 그라우트 연결부에서 전단키 배열이 축하중 용량에 미치는 영향
- 저영향개발 디지털트윈 분석 모듈 개발 및 적용
- 평면최단거리를 활용한 Sentinel-1 영상의 중소규모 하천 수체 추출
- 무도상 교량 미끄럼 허용 궤광 시스템의 횡방향 보강판 현장 실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